광제비급 ()

목차
관련 정보
광제비급
광제비급
의약학
문헌
조선후기 의학자 이경화가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어 1790년에 간행한 의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의학자 이경화가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어 1790년에 간행한 의서.
내용

4권 4책. 목판본. 정조 때 함경도관찰사인 이병모(李秉模)가 이 지방 사람들이 의료혜택을 받지 못한 것을 한탄하여 구료(救療)에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이경화에게 이 책을 편술하게 하였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을 보면, 권1은 중풍을 비롯하여 제궐(諸厥)·오절(五絶: 사람이 비명에 죽는 다섯 가지)·칠규(七竅: 사람얼굴에 있는 일곱 구멍)·오발(五發)·옹저(癰疽: 큰 종기의 총칭)·제상(諸傷)·인후(咽喉) 등의 질환에 대하여 논하고 있다.

권2는 잡병 약 250개 항목에 관한 내용이 처방과 함께 체계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권3은 부인과질환인 부인문(婦人門)·잉부잡병(孕婦雜病)·부인잡병·소아문(小兒門)·두진(痘疹)에 대하여 언급되어 있다.

권4는 저자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한 자연야생약초·무기약품(백반)·재배식용식물 등의 단방치험(單方治驗)에 대하여 폭넓게 기술하고 있고, 특히 개개 생약에 대한 수치방법(修治方法)·제조방법·복용량·적응증 등이 비교적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권4에 수재된 단방치험 약초나 무기약품·식용식물은 인삼을 비롯하여 향부자·동과·석창포·향유·대산(마늘)·쑥·당귀 등 누구나 쉽게 구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모두 40여종을 수록하고 있다.

다른 의서와 다른 점은 어려운 병리설을 줄이고 주로 임상과 직결되는 구급·잡병·부인병·소아병에 역점을 두었으며, 특히 단방생약에서는 함경도 산야에서 누구나 구할 수 있는 쑥·황경피나무·승엄초·장군풀·쇠비름·도둑놈의갈고리·으아리 등을 수록한 것이라 하겠다. 지금도 이 책에 기재되어 있는 생약은 질병치료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김두종, 탐구당, 1979)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육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