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방가요 ()

목차
관련 정보
악학궤범 5권(16) / 교방가요
악학궤범 5권(16) / 교방가요
무용
작품
≪악학궤범≫에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 중의 하나.
목차
정의
≪악학궤범≫에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 중의 하나.
내용

≪악학궤범≫에 전하는 향악정재(鄕樂呈才) 중의 하나. 이는 춤이라기보다 임금의 대가(大駕)의 행로(行路)에서 가요(歌謠)를 적은 축(軸)을 올릴 때 <학무 鶴舞>와 <연화대 蓮花臺> 등을 연출하여 임금을 즐겁게 하는 행사이다.

연출 내용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길 가운데 침향산(沈香山)과 지당구(池塘具)를 설치하고, 화전벽(花甎碧)을 침향산 앞에 편 뒤, 기녀 1백 명이 침향산 좌우에 갈라선다.

다음에는 가요축(歌謠軸)의 함과 탁자를 길 왼쪽에 설치하고, 기녀 두 사람이 탁자 좌우에 선다(이 때 나이어린 기녀를 택한다). 대가가 이르면 전부고취(前部鼓吹) 악공 50명이 기녀들의 뒤에 나누어 서고, 이어 <여민락령 與民樂令>을 연주하면 여러 기녀들이 노래를 부른다.

박(拍)을 치면, 도기(都妓)가 손을 여미고 족도하며 앞으로 나아가 꿇어앉는다. 이어 기녀 두 사람이 손을 여미며 꿇어앉아 엎드려 절하고 일어나서 함을 받들고 나아가 도기의 오른쪽에 꿇어앉는다.

도기가 첨수(尖袖)로써 두 기녀가 건네주는 가요축을 받들고 일어서서 나아가 꿇어앉으면 여러 기녀들도 동시에 꿇어앉는다. 다음에는 승지가 도기로부터 가요축을 전해 받들어 나아가 꿇어앉으면 내시가 성함(盛函)을 전해 받으러 나아간다.

그러면 도기는 절하고 제자리로 돌아간다. 이 때 <학무>와 <연화대> 정재가 연출된다. 춤이 모두 끝나고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환궁악(還宮樂)을 연주하면 침향산을 화전벽 뒤에 끌어 물리고, 기녀들은 뒤로 물러 나누어 섰다가 대가가 앞으로 나아가 머물면 또 춤춘다.

이상과 같이 대궐문에 이르기까지 똑같은 절차로 되풀이하고, 대가를 시위하여 대궐 안으로 들어가면 음악이 그치고, 모든 행사가 끝난다. 조선시대 말기에서는 시행된 예가 별로 없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장사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