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라철사금자보 ()

목차
관련 정보
구라철사금자보
구라철사금자보
국악
문헌
조선후기 문인 이규경이 양금에 대한 소개와 시조 악보를 수록한 악보. 양금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인 이규경이 양금에 대한 소개와 시조 악보를 수록한 악보. 양금보.
내용

1책. 사본. 유럽의 철사로 된 금(琴), 즉 양금의 악보라는 뜻이다. 차례 중 첫째의 창래조(刱來條)에는 “정축년 봄에 전악문명신(典樂文命新)이 이 악보를 강작(講作)하였다.”고 되어 있다.

내용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째 부분은 양금에 관한 글로 창래(刱來)·율명(律名)·자점(字點)·의용피자(宜用彼字)·제형(製形)·장기(藏棄)·고법(鼓法)·금명(琴銘)·전고(典攷)가 실려 있고, 둘째 부분은 악보로 조현(調絃)은 우조조현과 계면조현, 「영산회상(靈山會相)」(대 1∼4, 중 1∼4, 소 1∼4, 제(除) 1∼4, 환입(還入) 1∼4, 하현환입(下絃還入) 1∼4), 「가곡(歌曲)」(속칭 「자지나엽(紫芝羅葉)」)과 「시조(時調)」의 악보가 율자보(律字譜)로 기록되어 있다.

그런데 양금의 14줄이 12율명에다 ‘공(工)’·‘상(上)’ 2자를 더한 것으로 표시되었고, 그 14줄의 음명(音名)과 실제 줄의 음이 일치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구라철사금자보』의 공(工)·황(黃)·대(大)·태(太)·협(夾)·고(姑)·중(仲)의 실제음은 각각 황·태·협·중(仲)·임(林)·남(南)·무(無)이다.

이 악보 중 시조와 「자진한닙」악보는 『유예지』와 동일한 것으로서 매우 귀중한 악보이다. 특히, 시조악보는 시조창의 원류를 찾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국악논고(國樂論攷)』(장사훈,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