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산 ()

현대문학
작품
이해조(李海潮)가 지은 신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이해조(李海潮)가 지은 신소설.
내용

1911년 6월 22일부터 9월 28일까지 『매일신보』에 연재되었고, 1912년 신구서림(新舊書林)에서 단행본으로 간행하였다. 상편과 하편으로 나뉘어 있다. 총 82회가 연재된 장편으로, 상투적인 구소설로의 퇴행의 면모와 함께 친일적 성격이 처음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작가적 이력에 전환을 가져온 대표적인 공안류(公案類) 소설로 꼽히는 작품이다.

서울 박동에 사는 서 판서는 첫 부인과 사별한 뒤 재취를 얻지만, 역시 아들 오복을 낳고 죽어 과부 이동집을 삼취로 맞아들인다. 이동집은 전실 자식인 오복을 사랑하고 자신의 아들 또복을 낳은 뒤에도 오복을 더욱 아낀다.

서 판서는 친구 김 판서의 딸 애중이와 오복을 결혼시키는데, 혼례를 치른 이튿날 아침 신랑이 머리 없는 시체로 발견된다. 신랑의 살인범이라는 누명을 쓴 신부는 남장을 하고 서 판서 집 근처에 머물면서 염탐하던 중 칠성 어미에게서 실마리를 얻어, 이동집의 모계(謀計)에 의한 하인 칠성의 소행임을 밝혀낸다.

서 판서는 범행을 자백한 이동집을 법소(法所)로 보낸 뒤 염증나는 세상을 버리고 팔영산으로 들어가 숨는다. 김씨 부인은 첫날밤 얻은 태기로 아들 효손을 낳는다. 효손은 13세가 되어 복수를 하고자 할아버지를 찾기 위해 길을 떠난다.

도중에 서 판서를 만나 함께 칠성이를 붙잡자 지금까지 알고 있던 사연이 새롭게 밝혀진다. 하수인으로 알았던 칠성이는 앞서 이동집의 명령으로 범행하러 가던 도중에 어떤 불의한 남녀를 죽이고 그 남자의 시체를 신방에 대신 넣고, 오복을 업고 일본 구주(九州)까지 달아나서 15년간이나 상전의 아들을 보호하면서 공부를 시켰던 것이다.

공범으로 체포되었던 사람 또한 또복임이 밝혀지고 범인은 법소에서 판결을 받는다.

의의와 평가

신혼 첫날 계략에 의해 신랑이 죽고, 그 누명을 쓴 신부가 진범을 찾는 ‘첫날밤 신랑 모해(謨害)’ 모티프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조생원전」, 「김씨열행록」, 「사명당전」 등의 고소설과 개작 등의 영향 관계 아래 있는 작품이다.

애국 계몽기의 작품군에서 식민지 시대의 작품군으로 이행한 이래, 이해조의 작품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일본인 구원자의 등장이나 엽기성의 강화, 신파조의 복수담 등은 이인직(李人稙)이 처음 신소설에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작품을 통하여 볼 때, 엽기성이나 복수담이 전대(前代)인 고전소설의 시대에 이미 존재하던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 탐정소설의 효시로 간주되는 ‘정탐소설’이라는 명칭이 붙은 동일 작가의 「쌍옥적(雙玉笛)」(1911.12.)에 앞서는 추리소설적 성격의 작품이다. 이 작품은 비교문학 분야에서 만청 시대(晩淸時代)의 소설인 「구명기원(九命奇寃)」과 연관시켜 연구되기도 하였다.

권선징악의 장치를 볼 때, 초월적 존재가 재판에 의한 징계로 변모하고, 범인이 구출자로 전환되는 역전 등의 근대적 면모를 보이는 서술 수법을 구사한 공안류 소설이다. 그리고 신소설의 고전소설과의 접맥을 재고시킬 여지를 보이는 작품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한국근대소설사론』(최원식, 창작사, 1986)
『신소설에 미친 만청소설의 영향』(성현자, 정음사, 1985)
『한국개화기소설연구』(이재선, 일조각, 1975)
「이해조의 재판소설 연구」(최희정,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이해조 『구의산』의 『조생원전』 개작 양상 연구」(서혜은, 『어문학』 113, 한국어문학회, 2011)
「매체양식에 의한 고소설의 변이 양상 연구」(신희경, 『정신문화연구』 39권 2호, 한국학중앙연구원, 201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