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신활자본. 서문과 발문이 없어 편집, 간행된 경위나 연도는 알 수 없다. 장서각 도서와 진주하씨 종손가에 있다.
권1은 『구이당유집』으로 시 7수, 행장 1편, 장계(狀啓) 1편, 제문 6편이 수록되어 있고, 부록으로 만사 27편, 제문 1편, 가장 1편, 묘지명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만향당유집(晩香堂遺集)』으로 시 5수, 제문 3편이 수록되어 있고, 부록으로 만 58편, 뇌문(誄文) 3편, 제문 6편, 가장략(家狀畧) 1편, 묘갈명 1편, 향장(鄕狀) 2편, 도장(道狀) 2편, 목사서목(牧使書目)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1의 시는 대부분이 만시로, 고인들의 높은 학식과 인품을 기리고 그들과의 우정을 읊은 것이다. 특히, 「전춘일배제장유송강정사유허(餞春日陪諸長遊松岡精舍遺墟)」는 3월 그믐날 마을의 여러 어른을 모시고 함께 봄날을 즐기며 풍류를 읊은 것이다.
장계의 「병사박상원유장(兵使朴瑺願留狀)」은 당시 그 지방의 수령이었던 박상원이 병을 빙자하여 사퇴함에, 그의 덕과 선정을 칭송하며 그의 사표를 수령하지 말도록 촉구한 것이다.
권2의 시 역시 대부분이 만시로, 영남지방 선비들의 풍부한 학식과 고매한 인격을 기린 작품이다. 이 가운데 「오재연구(梧齋聯句)」는 1683년(숙종 9) 가을에 친지와 선비들이 오재에 모여 가을의 정경을 즐기며 각자의 포부와 풍류를 읊은 시이며, 「만박수졸재대경(挽朴守拙齋大卿)」은 오언배율의 장시로, 고인의 지극한 효성과 맑고 장대한 기상을 질박하게 읊은 것이다.
부록의 향장·도장·목사서목 등은 그의 지극한 효성과 우애를 포상하여 만인의 모범을 삼고자 하는 도내 유생들의 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