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벽 ()

습재집
습재집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관찰사, 승문원제조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대수(大手)
습재(習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20년(중종 15)
사망 연도
1593년(선조 26)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관찰사|승문원제조
관련 사건
을사사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관찰사, 승문원제조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대수(大手), 호는 습재(習齋). 권염(權念)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광흥창수(廣興倉守) 권억(權憶), 아버지는 좌승지 권기(權祺), 어머니는 청풍김씨(淸風金氏)로 목사 김세영(金世英)의 딸이다. 시인 권필(權韠)의 아버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3년(중종 38) 진사시에 합격하고 같은 해 식년문과의 을과로 급제, 예문관검열(藝文館檢閱)을 거쳐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에 발탁되었다. 이때 안명세(安名世)·윤결(尹潔) 등 청류 선비들과 교유했다.

그러나 두 사람이 당시 윤임(尹任) 등과 친하며 윤원형(尹元衡) 일파를 공박하면서 야기된 을사사화에 화를 입자 모든 교유를 끊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썼다. 선조가 즉위하자 예조참의·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를 역임하고 춘추관기주관(春秋館記註官)이 되어 『중종실록』·『인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고,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으로서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했다.

이문(吏文)에 밝아 행정 실무에 능했고,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일본 승사(僧使)를 접대하고, 이어 서장관(書狀官)과 동지사로 두번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원접사(遠接使)가 되기도 했다. 외직으로는 성주목사·장단부사를 거쳐 안변부사가 되었다가 순무어사 허봉(許篈)의 탄핵으로 체직되었다.

그 뒤 대호군·오위장·강원도관찰사를 역임하며 선정을 폈다. 시문이 높은 경지에 이르러 승문원부제조·제조(提調) 및 지제교(知製敎)를 오랫동안 지내며 문한(文翰)을 주관하였는데, 특히 명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했다.

1572년(선조 5) 김성일(金誠一) 등과 함께 완의록(完議錄)에 올랐고, 광국원종공신(光國原從功臣)에 봉해졌다. 한시에 능해 많은 사람들이 권벽의 시를 즐겼으며, 당대의 명사인 노수신(盧守愼)·정유길(鄭惟吉) 등도 시문을 높이 평가했다.

50여 년 벼슬 재위 기간 가사를 돌보지 않고 자식의 혼사도 모두 부인에게 맡겼으며, 손님도 거의 맞지 않으면서 오직 시에만 마음을 쏟아 높은 경지를 이루었다. 예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는 『습재집』 8권이 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택당집(澤堂集)』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