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관음보살 좌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관음보살좌상
금동관음보살좌상
조각
유물
조선시대의 보살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38.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화불(化佛)이 표현된 높은 보관(寶冠)을 쓰고 있는 화려한 모습의 보살상으로, 허리가 잘쏙하면서도 장대한 신체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 무릎을 세우고 한 다리는 가부좌(跏趺坐)하였으며, 왼손은 뒤로하여 바닥을 짚고 오른팔은 무릎에 걸치고 있어 편안한 자세가 돋보인다.

단엄한 긴 얼굴, 균형잡힌 신체에 장식이 유난히 번잡한 것이 특징이다. 얇은 천의(天衣)를 걸친 모습은 법의(法衣)와 비슷한 두터운 옷을 입은 대다수의 조선시대 보살상이나 고려 후기의 보살상과는 약간 다르게 나타난다.

특히, 목걸이와 배 부근의 둥근 구슬이 X자로 모아져 다시 무릎 부근을 장식한 점은 1395년(태조 4)작인 영덕 장륙사 건칠관음보살좌상(보물, 1989년 지정)과 비교되며, 더 나아가 금강산 출토의 두 금동보살좌상(국립중앙박물관 및 호림미술관 소장)과 연결된다고 하겠다.

위엄 있는 세련미가 성공적으로 표현된 이 작품은 신기에 가까운 장인의 솜씨임을 잘 보여준다. 얼굴에는 아직도 채색의 흔적이 선명한데, 복장물(腹藏物)에 의하면 조선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서 당대를 대표하는 걸작품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조선전기조각양식의 연구 1」(문명대, 『이화사학연구』 13·14, 이화사학연구소, 1983.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