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 약사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금동약사여래입상
금동약사여래입상
조각
유물
국가유산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금동약사여래입상(金銅藥師如來立像)
분류
유물/불교조각/금속조/불상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63년 01월 21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시대의 불상.
개설

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좌와 광배(光背)가 모두 없어졌으나, 불신(佛身)의 보존 상태는 좋은 편이다.

내용

나발(螺髮)의 머리에는 육계(肉髻)가 둥글면서도 높게 표현되어서 마치 상투를 얹어 놓은 것처럼 보인다. 얼굴은 둥글고 탄력이 있지만 미소가 없는 근엄한 표정이다. 선이 날카로워진 눈·코·입과 융기된 인중 그리고 뚜렷한 삼도(三道)의 표현과 어깨에 닿은 긴 귀가 특징적이다.

신체는 당당하고 건장하나, 다소 둔중한 듯하다. 오른손은 허리 아래로 내려 엄지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을 맞대고 있고 왼손에는 약호를 들고 있다. 오른쪽 어깨와 팔은 동체와 따로 주조해서 접합한 것이다.

법의는 통견으로, 왼쪽 어깨에서 매듭지어져 고리로 붙들어 매어진 독특한 착의법이다. 이런 착의법은 고승의 영정이나 지장보살상에서도 흔히 보이는데, 불상의 법의에서도 보이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가슴에 흐르고 있는 지그재그형의 옷주름은 보다 형식화 또는 경화된 것이다. 이 형식화는 오른쪽 어깨에서 흘러내리고 있는 지그재그형 옷주름에서 더욱 여실히 나타난다. 전면에 있는 촘촘한 U자형의 주름 역시 형식화된 옷주름 선을 나타내고 있다.

가슴이 드러난 법의 안에는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승가리(僧伽梨: 승려가 입는 붉은 빛의 큰 예복)가 표시되어 있다. 법의 아래 군의(裙衣)가 보이는데, 발목으로 내려오면서 넓어진다.

상(像)의 뒷면 등에는 작은 주형공(鑄型孔)이 두 개 뚫려 있다. 발밑에는 대좌에 꽂혔던 촉이 붙어 있으나, 광배꽂이는 없어졌다.

특징

현재 불신만 남아 있는 이 불상은 높다란 둥근 육계나 굳은 얼굴 표정, 융기된 인중 등이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국보, 1962년 지정)이나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국보, 1962년 지정)과 비교할 수 있으며, 군의의 하단 표현도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과 비슷하다.

접혀진 법의 자락에 나타난 규칙적인 지그재그의 옷주름은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이나 경주 굴불사지 석조사면불상의 서면불상보다 진전된 것으로 보아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과 전후하여 만들어진 8세기 불상으로 추정된다.

이 불상은 오른팔 부분을 별도로 만들어 결합하는 독특한 방법으로 제작했으며, 각 세부의 치밀하고 세련된 조각 기법을 보여주는 점에서 금동약사불상을 대표하는 뛰어난 불상 조각으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5 보물3(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한국의 불상』(진홍섭, 일지사, 1976)
「금동약사여래입상」(임영애, 『문화재대관 보물 불교조각 Ⅰ』, 문화재청, 2016)
「통일신라 약사불상의 연구」(유근자,『미술사학연구』203, 한국미술사학회, 199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