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은시집 ()

목차
관련 정보
금은시집
금은시집
한문학
문헌
조선후기 문인 김윤백의 시 「전가칠절」 · 「야좌」 · 「미인」등을 수록하여 1913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인 김윤백의 시 「전가칠절」 · 「야좌」 · 「미인」등을 수록하여 1913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1책. 목활자본. 이 시집은 최보열(崔輔烈)이 교정하였으며, 송세영(宋世榮)이 편집한 것을 1913년 그의 아들 김연태(金然泰)가 간행하였다.

내용 및 평가

권두에 저자의 자서와 김규홍(金奎弘)과 민병승(閔丙承) 및 김인식(金寅植)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연태의 발문이 있다. 시 32수만 수록되어 있다.

그의 시는 전체적으로 맑고 투명하여 평담·고졸한 맛이 강하게 느껴지는데, 자서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시품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금은지속품(琴隱之俗品)”이라고 자부하고 있다. 「전가칠절(田家七絶)」 3수, 「이앙(移秧)」 등은 농가의 풍경과 일하는 농부들의 모습을 흥겹게 묘사한 것이다.

「생조(生朝)」·「유거만부(幽居漫賦)」·「추일한거(秋日閑居)」·「야좌(夜坐)」 등은 그의 시풍을 가장 현저하게 드러낸 뛰어난 작품으로 그의 청빈한 생활 가운데 느끼는 즐거움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처럼 대부분의 시는 은거생활의 한가로움이나 즐거움, 그 바탕이 되는 생활태도 및 인생관을 마을의 산수 및 경물 등 다양한 소재를 통하여 표현한 것이다. 이밖에 「탄세(歎世)」·「희제(戱題)」·「작시시지(作詩示之)」·「죽산즉사(竹山卽事)」·「자조(自嘲)」 등은 시사성과 풍자성을 띠고 있으며, 「미인(美人)」 4수와 「미인팔절」 등은 규방의 한과 정서, 꿈 등을 노래한 것으로 독특한 맛이 있다. 장서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