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범연의 ()

목차
관련 정보
기범연의 / 이원곤
기범연의 / 이원곤
유교
문헌
조선후기 학자 이원곤이 『홍범』을 해석하여 1850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학자 이원곤이 『홍범』을 해석하여 1850년에 간행한 주석서. 불교서.
내용

10권 4책. 경(經)·전(傳)·자(子)·사(史)에서 중요한 것과 선유(先儒)의 설을 인용하고, 자신의 견해를 덧붙여 그 뜻을 부연하였다. 성근묵(成近默)·이양연(李亮淵)·소수구(蘇洙矩)·고대진(高大鎭) 등의 서와 자서(自序)가 있다. 그는 자서에서 구주(九疇)로 된 『홍범』은 정치와 도덕의 기본 법칙으로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 왔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그 확실한 의미와 진정한 가치가 인식되지 못해 애석히 여겨 이 책을 지었다고 밝히고 있다. 그의 종질인 창술(昌述)에 의해 1850년(철종 1)에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두에는 이이(李珥)의 「기자실기(箕子實記)」와 이정구(李廷龜)의 「기자묘비명(箕子墓碑銘)」·「하도낙서(河圖洛書)」·「홍범본수제도(洪範本數諸圖)」·「본경대문(本經大文)」, 권1에는 「총론오행(總論五行)」, 권2에는 「오사제이(五事第二)」, 권3에는 「팔정제삼(八政第三)」, 권4에는 「팔정제삼하(八政第三下)」, 권5에는 「오기제사(五紀第四)」, 권6에는 「황극제오(皇極第五)」, 권7에는 「삼덕제육(三德第六)」, 권8에는 「계의제팔(稽疑第八)」, 권9에는 「서징제팔(庶徵第八)」, 권10에는 「오복제십(五福第十)」이 수록되어 있다.

이원곤은 원래 경전을 즐겨 익히고 정주학(程朱學)에도 열심이었으나, 주된 관심은 『홍범』에 두었다. 따라서 『기범연의』는 그가 초야에 묻혀 평생을 두고 연구한 일생일대의 소산이다. 이이나 김장생(金長生) 등은 기자를 높이 평가해 그의 도(道)가 해동에 실현되지 못함을 한탄했지만, 그에 대한 체계적인 저술을 남기지는 못했다.

성근묵은 서문에서 이 책은 “구주의 작용(用)에서 나아가, 구주의 이치(理)를 증거하고 있다.”고 평하고, “특히 오사(五事)에 경(敬) 한 자를 덧붙이고, 황극(皇極)에 오륜(五倫)을 더한 것은 오히려 『홍범』에 보탬이 된 것”이라고 칭찬하였다.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