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궤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예부시랑, 좌간의대부, 판비서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예부시랑|좌간의대부|판비서성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에, 예부시랑, 좌간의대부, 판비서성사 등을 역임한 문신.
생애 및 활동사항

1264년(원종 5) 몽고가 친조(親朝)를 요구하자 왕은 음양가(陰陽家)인 백승현(白勝鉉)의 말을 믿고 마리산(摩利山)에 가궐(假闕)을 지어 모면하려 하였다.

이 때 예부시랑(禮部侍郎)으로 있으면서 “혈구(穴口)는 흉한 산인데 승현이 대일왕(大日王: 毘盧遮那의 음역으로 태양이 가진 속성처럼 중생들을 두루 비추어 지혜의 광명을 내는 부처라는 의미)이 머무는 곳이라 하여 불사를 일으키도록 고종에게 권했지만 얼마 아니되어 고종이 죽었다.”고 하는 전왕(前王)의 일을 들어 박송비(朴松庇)를 통해 당시의 권신 김준(金俊)에게 백승현의 말을 물리칠 것을 건의하였다.

그러나 도리어 백승현의 말을 믿고 있던 김준에 의해 죽임을 당할 뻔하였다. 1269년 좌간의대부(左諫議大夫)가 된 뒤 1272년 동서학당이 설치되자 판비서성사(判秘書省事)로 별감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