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대호군, 호조참의,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대빙(待聘)
시호
호간(胡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24년(세종 6)
사망 연도
1510년(중종 5)
본관
연안(延安, 지금의 황해도 연백)
주요 관직
첨지중추부사
정의
조선전기 대호군, 호조참의, 첨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대빙(待聘). 밀직제학(密直提學) 김도(金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김자지(金自知)이고, 아버지는 김해(金侅)이며, 어머니는 참판 성개(成槪)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53년(단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나, 끝내 문과에는 급제하지 못하였다.

성종이 세자였을 때 왕자사부(王子師傅)로 발탁되어 무반으로 대우받았고, 1472년(성종 2) 사옹원직장으로 출발하여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을 거쳐, 종부시주부가 되고, 1477년에는 해주판관이 되었다. 1479년 군기시주부를 거쳐, 이듬해 통진현령이 되었다.

그 뒤 1486년에는 단양군수 등을 지냈다. 이후 상호군·대호군 등을 번갈아 10여 년 동안 역임하였다. 이어 성종의 배려로 문반이 되어 호조참의를 제수받고 첨지중추부사를 거친 뒤 관직을 떠났다. 영의정에 추증되고, 시호는 호간(胡簡)이다.

참고문헌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용재집(容齋集)』
『허백정집(虛白亭集)』
『안락당집(安樂堂集)』
『이락당집(二樂亭集)』
『모재집(慕齋集)』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집필자
이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