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 ()

양진당화산록(권4) / 을사사화명현록
양진당화산록(권4) / 을사사화명현록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학유, 박사, 감찰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태중(兌仲)
양진당(養眞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16년(중종 11)
사망 연도
1578년(선조 11)
본관
상산(商山)
주요 관직
감찰
정의
조선전기 학유, 박사, 감찰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상산(商山). 자는 태중(兌仲), 호는 양진당(養眞堂). 김세진(金世珍)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형(金衡)이며, 아버지는 김장수(金長琇)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46년(명종 1)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66년 천거로 군자감참봉(軍資監參奉)이 된 뒤, 영숭전후릉참봉(永崇殿厚陵參奉)에 재직 중 1568년(선조 1) 53세의 나이로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 뒤 학유(學諭)·박사를 지내고 1574년에는 홍문록(弘文錄)에 올랐으며 감찰(監察)을 지냈다. 을사사화의 제현(諸賢) 신원(伸寃: 억울하게 입은 죄를 회복시킴)에 앞장섰으며 공신들의 위훈(僞勳: 거짓으로 꾸민 공훈)을 깎고 관작을 회복하자고 상소하였다.

많은 글을 지었다 하나 전하지 않으며, 또한 시에 능하였는데 서정이나 감상보다 덕(德)과 행(行)을 강조하고 있다. 저서로는 시문집 『양진당화산록(養眞堂花山錄)』 4권 2책이 전한다.

참고문헌

『명종실록(明宗實錄)』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