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계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승문원교리, 승정원부승지,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형운(亨運)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14년(태종 14)
사망 연도
1461년(세조 7)
본관
의성(義城)
주요 관직
정언
정의
조선시대 승문원교리, 승정원부승지, 정언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의성(義城). 김거두(金居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천(金洊)이고, 아버지는 현감 김영명(金永命)이며, 어머니는 이지유(李之柔)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38년(세종 20) 생원으로 식년 문과에 정과로 급제했다.

집현전에 들어가 공부하였고, 1451년(문종 1) 좌정언(左正言)이 되었으며, 경연(經筵)에 출입하여 문학으로 이름이 높았다. 직제학을 거쳐 1454년(단종 2) 성균관직강이 되고 이어 승문원교리를 겸하였으며, 또 기주관(記注官)을 겸하여 『세종실록(世宗實錄)』 편찬에도 참여하였다.

승정원부승지를 지내고 다시 정언이 되었다. 1455년(세조 원년) 세조가 즉위하자 부지승문원사(副知承文院事)에 임명되었으나 병을 칭하여 사직하고 종신토록 벼슬하지 않았다. 같은 해 좌익원종공신(佐翼原從功臣) 2등에 봉해졌으나 사양하였다.

참고문헌

『문종실록(文宗實錄)』
『단종실록(端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지상집략(誌狀輯略)』
집필자
이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