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행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광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이칭
주도(周道)
장포(長浦)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32년(중종 27)
사망 연도
1588년(선조 21)
본관
강릉(江陵)
주요 관직
광주목사
정의
조선전기 광주목사를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주도(周道), 호는 장포(長浦). 김상(金湘)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군수 김사희(金士熙)이고, 아버지는 김국평(金國枰)이며, 어머니는 거창신씨(居昌愼氏)로 신극효(愼克孝)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58년(명종 13)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566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어려서 백인걸(白仁傑)과 성수침(成守琛)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성수침은 성혼(成渾)의 아버지인데 성혼과 동문수학하고 평생 형제처럼 지냈다. 벼슬은 내직으로 전적·형조좌랑·호조좌랑·예조정랑·한성부서윤·사성·사도시정(司䆃寺正)을 지냈고, 외직으로는 무장현감·고양군수·서천군수·양주목사·광주목사를 지냈다.

성품이 강직하여 주로 외직에 머물고 크게 현달하지는 못하였다. 글씨에도 능하여 필법이 호장활동하다는 평을 들었고, 1575년(선조 8) 무장현감으로 있을 때에는 안평대군(安平大君)의 「증도가(證道歌)」를 보완하여 간각(刊刻)했다.

또한, 무예와 지략에도 뛰어나서 1588년 광주목사로 있을 때 순변사(巡邊使) 신립(申砬)이 천거하여 전라도병마절도사의 물망에 올랐으나 곧 죽었다. 이제신(李濟臣)과 친교가 두터웠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포저집(浦渚集)』
집필자
이태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