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우의정,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선지(善之)
근와(芹窩)
시호
효간(孝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29년(영조 5)
사망 연도
1800년(정조 24)
본관
광산(光山)
출생지
충청도 연산
주요 관직
지평|교리|대사성|광주목사|예조판서|경기도관찰사|이조참판|우의정|영중추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이조참판, 우의정, 영중추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선지(善之), 호는 근와(芹窩). 충청도 연산 출신. 김장생(金長生)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수택(金壽澤), 아버지는 김상경(金相庚), 어머니는 이광택(李光澤)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2년(영조 38)에 생원이 되고 음보(蔭補)로 봉사가 되었으나, 1773년에 증광 문과의 병과에 급제, 1777년(정조 1) 초계어사(抄啓御史)에 선발되었다.

그 뒤 1779년 지평·규장각직각·이조좌랑·교리 등을 역임했다. 교리 재직시에는, 경성(京城) 사대부들 중 공물과 경저인(京邸人)이 내놓은 물건을 몰래 팔아 이익을 취하는 자들이 있음을 지적하고, 이를 엄금하되 만약 재상가라 하더라도 용납하지 말고 장오죄(贓汚罪:뇌물죄)로 적용시킬 것을 상소해 실행하게 했다.

1780년 대사간·대사성 등을 거쳐 강원도관찰사·대사간·이조참의·대사헌·동지경연사·평시제조·이조참판·홍문관부제학·광주목사 등을 역임했으며, 1790년 형조판서가 되었다. 이어 예조판서·경기도관찰사를 거쳐 서흥부사(瑞興府使)를 역임했다.

이듬해 임경업(林慶業)의 실기(實紀)를 찬집했고, 이어 이조참판·함경도관찰사를 거쳐, 1793년 우의정에 올랐다. 그러나 시파(時派)와 벽파(僻派)가 싸우는 중에 인물을 천거한 것이 말썽이 되어 물러났다.

판중추부사를 거친 뒤 영중추부사가 되고, 1795년과 1797년에 동지 겸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기로소에 들어갔다.

경학에 능해 경전장구(經傳章句)에 정조의 고문 역할을 했다. 인품이 청백해 사관들은 한사(寒士)와 같이 담소하다고 평했다. 편서로는 『사계연보(沙溪年譜)』가 있다. 시호는 효간(孝簡)이다.

참고문헌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순조실록(純祖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국조방목(國朝榜目)』
『호보(號譜)』
집필자
박정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