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홍좌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후기 함경남도병마절도사, 삼도통제사, 수원방어사 등을 역임한 무신.
이칭
제백(濟伯)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49년(인조 27)
사망 연도
1709년(숙종 35)
본관
안정(安定)
주요 관직
수원방어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함경남도병마절도사, 삼도통제사, 수원방어사 등을 역임한 무신.
개설

본관은 안정(安定). 자는 제백(濟伯). 증조부는 참의 나만갑(羅萬甲), 아버지는 나성원(羅星遠)이며, 어머니는 동지중추 권순창(權順昌)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송준길(宋浚吉)의 문인이었으나 무예를 닦아 선전관을 비롯하여 총부도사(摠府都事)·훈련원정을 거쳐, 1685년(숙종 11) 내금위장이 되었다. 그러나 이때 풍기를 문란시켰다고 하여 사간원의 탄핵을 받기도 하였다.

이 후 첨추(僉樞)·훈련도감중군·훈련대장 겸 총관총융사를 거쳐 훈련도정 겸 주사당상이 되었다. 1699년 어영대장을 거쳐 한성좌윤에 임명되고 이듬해 포도대장이 되었다.

외직으로는 중화부사(中和府使)·서흥현감·봉산군수·여산토포사(礪山討捕使)·숙천부사·춘천방어사·정주목사·해미현감·영흥부사·함경남도병마절도사 등을 거쳐 삼도통제사에 제수되었다.

1699년 노·소론간의 대립으로 과옥(科獄)이 일어나자 이듬해 포도대장으로 과옥을 안치하였는데 이것이 화근이 되어 무고를 입고 용천(龍川)에 유배되었다.

1703년에 김창집(金昌集) 등 대신들의 변론을 통하여 풀려나서 춘천방어사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이후 수원방어사에 부임하였으나 곧 사직하였다. 인품은 충효가 돈독하고 식견과 도량이 넓고 맑고 깨끗하였으며, 특히 소송을 처리하는 것이 공평하고, 지방의 황폐한 곳을 잘 다스렸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박정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