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왕명의 전달, 음식물 감독, 청소, 궐문 수직 등 궐내의 잡무를 맡아보던 내시부의 벼슬아치를 이르던 용어.
이칭
이칭
환자(宦者), 환시(宦寺), 환수(宦竪), 화자(火者), 엄인(閹人), 혼관(閽官), 혼시(閽寺), 엄시(閹寺), 엄수(閹竪), 폐환(嬖宦), 중환(中宦), 내환(內宦), 시인(寺人)
제도/관직
설치 시기
1356년(공민왕 5)
폐지 시기
1894년
소속
내시부
내용 요약

내시는 조선시대 왕명의 전달, 음식물 감독, 청소, 궐문 수직 등 궐내의 잡무를 맡아보던 내시부의 벼슬아치를 이르던 용어이다. 본래 고려시대에는 숙위 혹은 근시(近侍) 관원이었으나, 고려 말 환관들이 내시직에 많이 진출하여 환관을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조선시대 내시는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되어 종2품직 상선(尙膳)에서 종9품직 상원(尙苑)까지 각자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였다. 내시 제도는 갑오개혁으로 폐지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왕명의 전달, 음식물 감독, 청소, 궐문 수직 등 궐내의 잡무를 맡아보던 내시부의 벼슬아치를 이르던 용어.
임무와 직능

조선시대 왕명의 전달, 음식물 감독, 청소, 궐문 수직 등 궐내의 잡무를 맡아보던 내시부의 벼슬아치를 이르던 용어이다. 본래 고려시대에는 숙위 혹은 주1 관원이었으나, 고려 말 환관들이 내시직에 많이 진출함으로써 환관을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조선시대 내시부(內侍府)상선(尙膳: 종2품), 상온(尙醞: 정3품 당상관), 상다(尙茶: 정3품 당하관), 상약(尙藥: 종3품), 상전(尙傳: 정4품), 상책(尙冊: 종4품), 상호(尙弧: 정5품), 상탕(尙帑: 종5품), 상세(尙洗: 정6품), 상촉(尙燭: 종6품), 상훼(尙烜: 정7품), 상설(尙設: 종7품), 상제(尙除: 정8품), 상문(尙門: 종8품), 상경(尙更: 정9품), 상원(尙苑: 종9품) 등 14개 직책에 모두 140명의 내시를 정원으로 규정하였다.

내시들도 일반 관료들과 마찬가지로 궁궐 밖에서 처첩을 거느리고 가정을 이루고 살았다. 근무 형태는 크게 장번과 출입번으로 나뉘어 교대로 근무하였다. 내시는 왕의 측근으로서 궐내에 상주해야 하는 특수성 때문에 주2한 자만이 임명될 수 있었다. 그래서 본래 선천적인 거세자를 대상으로 충원하였다. 그러나 내시가 되면 경제적 혜택이 상당하였기 때문에 스스로 거세하고 내시에 지원하여 임명되는 경우도 많았다.

한편, 내시들도 양자를 택하여 가계를 이어갔고 족보를 작성하였다. 내시 족보로는 1805년(순조 5)에 이윤묵(李允黙)이 편찬한 『양세계보(養世系譜)』 등이 전해진다. 이 족보에는 내시 777명의 주4, 본관, 생몰년, 묘소 위치, 배우자의 본관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내시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변천사항

『삼국사기』 신라본기 826년(흥덕왕 1) 12월조에는 “왕비와 사별한 슬픔을 이기지 못하고 흥덕왕(興德王)이 시녀도 가까이하지 않고, 좌우에 오직 주3만을 두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우리나라 내시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다. 그러나 이 사료에 등장하는 환수가 조선시대의 내시와 같은 신분인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고려시대에는 숙위 혹은 근시 관원이었으나, 고려 말 환관들이 내시직에 많이 진출하면서 이후 조선시대에 들어서도 내시는 환관을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내시들이 권력을 남용하는 문제가 생기면서 내시 세력을 견제하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조선시대는 초기부터 내시의 득세를 억제하려는 정책에 따라 고려 말에 비해 내시의 세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 내시의 역할 가운데 궁궐 안의 잡무를 담당하는 면은 고려시대와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려 때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권신의 위치를 확보한 내시가 많았던 반면, 조선의 내시들은 주어진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내시 제도는 1894년에 갑오개혁을 계기로 폐지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강목(東史綱目)』
『세종실록(世宗實錄)』
『속대전(續大典)』
『영조실록(英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중종실록(中宗實錄)』
『태조실록(太祖實錄)』

단행본

장희흥, 『조선시대 정치권력과 환관』(경인문화사, 2006)

논문

장희흥, 「갑오개혁 이후 내시부의 관제 변화와 환관제의 폐지」(『동학연구』 21, 한국동학학회, 2006)
홍순민, 「조선왕조 내시부의 구성과 내시 수효의 변천」(『역사와 현실』 52, 한국역사연구회, 2004)
주석
주1

웃어른을 가까이 모심.    우리말샘

주2

동물의 생식 기능을 잃게 함. 수컷의 불알 또는 암컷의 난소를 없애거나 그곳에 방사선을 쪼여 생식 불능이 되게 하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

‘내시’를 낮잡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4

자기의 칭호를 스스로 지어 부름. 또는 그 칭호.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