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노비공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내수사에 소속된 납공노비의 신공(身貢).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조선시대
폐지 시기
1801년(순조 1)
내용 요약

내노비공은 조선시대에 내수사에 소속된 납공노비의 신공(身貢)을 말한다. 내노비들은 중앙 관청인 내수사에서 신역을 바치는 인원보다 전국 각지에 산재한 자신들의 농장을 경작하거나 관리하며 생활하는 인원이 많았고 이들이 바로 ‘내노비공’을 납부하는 대상이었다. 1753년(영조 29)에 실시된 추쇄에 의해 작성된 전국의 각 지역별 내노비공 납부자 수는 총 5574명이었으며, 1801년(순조 1)에 신공 납부의 의무가 있는 내노비를 혁파할 때 종량(從良)된 자는 모두 3만 6974명이었다. 이로써 내노비공은 법제상 사라지게 되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내수사에 소속된 납공노비의 신공(身貢).
내용

조선시대에 노비는 개인이나 기관 등의 상전에게 노동력을 바칠 의무를 지닌 신분 계층이었다. 그런데 상전에게서 멀리 떨어져 사는 노비는 노동력 대신 물품을 주1하는 것으로 그 역을 대신하였다. 노비가 물품을 납공하는 것을 신공(身貢)이라 하고, 신공을 바치는 노비를 납공노비라고 하였다.

납공노비는 공노비사노비 모두에서 존재하였다. 이들이 바치는 신공 액수는 『 경국대전』 호전 요부조(徭賦條)에 16세에서 60세에 이르기까지 외거(外居)하는 공노비(公奴婢) 가운데 주3는 1년에 주2 1필과 저화(楮貨) 20장, 주4는 면포 1필과 저화 10장을 신공으로 규정하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들어와 공노비를 소유한 각 주5에서 필요한 물품을 부과하거나 새로운 신공 명목이 추가되면서 공노비에게 신공은 큰 부담이 되었고, 신공 징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에 1755년(영조 31)에 이르러서는 노는 1필, 비는 반필로 신공을 감액하는 조치를 내렸고, 이러한 조처 이후에도 노비의 고역은 해소되지 않아 1770년(영조 46)에는 비의 신공을 폐지하기에 이르렀다.

내노비(內奴婢)는 조선시대 내수사(內需司) 및 왕실의 각 궁방(宮房)에 소속된 노비를 말한다. 각 궁에는 왕실 사유지, 즉 내수사전이 날로 불어나 거대한 농장을 형성하였는데, 1472년(성종 3)의 보고에 따르면 내수사전은 전국에 325개소나 되었다고 한다.

내노비들은 중앙 관청인 내수사에서 신역을 바치는 인원보다 전국 각지에 있는 자신들의 농장을 경작하거나 관리하며 생활하는 인원이 많았다. 이들이 바로 내노비공을 납부하는 대상이었다. 1753년(영조 29)에 실시된 주6에 의해 작성된 전국의 각 지역별 내노비공 납부자 수는 총 5574명이었다. 또한 1801년(순조 1)에 신공 납부의 의무가 있는 내노비를 혁파할 때 주7된 자는 모두 3만 6974명이었다. 이로써 내노비공은 법제상 사라졌다.

참고문헌

원전

『경국대전』
『성종실록』
『속대전』
『영조실록』

단행본

평목실, 『조선후기노비제연구』(지식산업사, 1982)

논문

도주경, 「18세기 내시노비 비총제의 시행과 운영」(『조선시대사학보』 88, 조선시대사학회, 2019)
전형택, 「19세기초 내시노비의 혁파」(『한국사론』 4,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1978)
주석
주1

백성이 그 지방에서 나는 특산물을 조정에 바치던 일. 또는 그 세제(稅制).    우리말샘

주2

목화솜으로 만든 실로 짠 천.    우리말샘

주3

예전에, 남자 종을 이르던 말.    바로가기

주4

계집종(종살이를 하는 여자)    바로가기

주5

예전에, 벼슬아치들이 모여 나랏일을 처리하던 곳.    우리말샘

주6

빚을 모두 받아들이던 일.    우리말샘

주7

천민이 양민이 되던 일. 납속(納粟)이나 국가에 대한 공훈 따위로 양민의 신분으로 올라갈 수 있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