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사 조선 동종 ( )

목차
관련 정보
정읍 내장사 조선 동종
정읍 내장사 조선 동종
공예
유물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동종.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내장사조선동종(內藏寺朝鮮銅鐘)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4년 09월 27일 지정)
소재지
전북 정읍시 내장산로 1253 (내장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동 내장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동종.
내용

총 높이 72.5cm, 종신높이 7cm, 종지름 46.5cm. 1768년(영조 44) 제작. 1974년 전라북도 유형문화재(현,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동종의 형식과 양식을 보면 종정상의 용통(甬筒 : 음관)은 고려 후기 동종에서 보이는 일반적 양식을 갖추고 단룡(單龍)의 용뉴(龍鈕 : 종의 꼭지부분)로 용의 입에는 여의주를 물고 있다.

종정(鐘頂 : 동종의 정상)의 천판(天板)은 비교적 수평을 이르고 있으나 용뉴가 설치된 곳은 한 단계 높아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견대(肩帶)와 천판이 접하는 부분에는 여의두문으로 장식된 입상대(立狀帶)를 돌렸으나 마멸과 결손이 심하여 현재는 일부만이 남아 있다.

상대인 견대는 상하 2단으로 구분하였는데, 상단은 연당초문으로 돌려 장식하였으며, 하단은 꽃잎 중앙에 작은 여의두문을 장식하고 꽃잎변을 고사리 문양으로 장식한 복련판으로 돌리고 있다. 상대와 유곽과의 사이에는 두 줄의 가는 선으로 돌린 원공 안에 범자(梵字) 21자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장식하고 있다.

4개소에 위치한 유곽(乳廓)은 거의 정방형으로 되어 있으며 9개의 유두는 꽃잎유좌에 자방이 돌출된 유두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유곽의 문양은 연당초문이며 하대인 구연대의 문양도 유곽문양과 같은 연당초문으로 장식되어 있다.

또한 유곽과 유곽 사이에는 원형의 두광과 보관을 갖추고 합장한 보살입상 4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양주(陽鑄)된 명문이 있어 주성 연대와 사찰명을 밝히고 있다.

명문에는 ‘乾隆三十三年 戊子十月 日長興寶林寺明正庵中鐘鑄 成尹光衡 大禪師光學 化主德周 別座來應 施主秩 大施主尹光衡 趙漢寶爲化父母 趙仁九 梁氏兩主 林奉□ 妻安氏(건륭33년 무자10월 일장흥보림사명정암중종주 성윤광형 대선사광학 화주덕주 별좌내응 시주질 대시주윤광형 조한보위화부모 조인구 양씨양주 임봉□ 처안씨)’로 기록되어 있는데, 부모를 위해 주성하여 장흥 보림사 명정암에 공양한 동종이며, 건륭 33년 무자는 영조 44년(1768)으로 조선 후기 동종의 양식을 갖고 있다.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