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기 ()

목차
관련 정보
은제다기
은제다기
불교
물품
불교의 헌다의식(獻茶儀式)에 사용되는 불구(佛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불교의 헌다의식(獻茶儀式)에 사용되는 불구(佛具).
내용

다기는 차를 담아서 불전에 공양하는 도구로써, 그 찻물을 보관하거나 이동하는 데 사용하는 도구는 정병(淨甁)이라고 한다.

처음 토제의 다기에서 출발하여 구리제품 또는 청자의 아름다운 상감을 지닌 제품들도 상당수 만들어졌으나, 오늘날 거의 대부분 유기제품으로 제작되고 있다. 대체로, 뚜껑이 있는 잔의 형태에 받침을 지니고 있으며, 크기는 약 15㎝ 내외이다. 그리고 청자계통의 다기는 뚜껑이 없이 잔받침 위에 연화형태의 잔을 갖춘 예도 많다. 대표적인 유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자탁잔과 청자상감국화문탁잔 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상당수의 유품이 전한다.

고려시대까지는 이 다기에 차를 달여 불전에 올렸으나, 조선시대의 억불정책으로 사찰에서 차를 구하기가 어려워지자 맑은 물을 대신 다기에 담아 공양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한국미술전집(韓國美術全集)』 9 -고려도자(高麗陶磁)-(동화출판공사, 197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장충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