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ㄱ자형의 안채와 ㄴ자형의 행랑채가 튼□자형의 일곽을 이룬 집으로, ㄴ자형의 행랑채는 원래 一자이던 것이 근래에 방을 부설하여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비록, 튼□자형에서 벗어나기는 하였어도 안채를 ㄱ자형으로 구성한 집이 이 지역에도 분포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가치를 인정할 만하다. 단양에서 강원도 쪽으로 더 들어가거나 재를 넘어 영남지방으로 가면 이러한 ㄱ자형의 집은 아주 보기 드물다.
집의 방위는 대문간이 동북향인 반면에 안채의 대청은 동남향을 하고 있다. 통상의 살림집과는 상이하게 행랑채 대문간이 돌아앉아 있는 배치를 하고 있다. ㄱ자형의 안채는 대청 쪽으로는 앞퇴를, 부엌 · 안방 쪽으로는 뒤퇴를 기본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평면은 중부내륙지방 형식을 띤다. 안채는 중심에 간반통(間半通)의 대청 두 칸을 두고, 대청의 동쪽에 건넌방을 두었다. 건넌방은 1칸이 방이 되고 앞퇴의 반 칸은 개방되어 툇마루 설치도 생략되었는데, 이것은 가마솥을 걸 부뚜막 설비를 위한 조처로 특색이 있는 부분이다.
대청의 서쪽, 안채의 몸체가 꺾이는 부분에 안방이 위치하여 있는데, 대청과 마찬가지로 간반통의 넓이이다. 간반통을 모두 구들로 만들지는 않고 반 칸은 뒤퇴로 만들어 마루를 깔았다.
안방 뒷벽에서 뒤퇴로 나서게 된 문짝은 띠살무늬 외짝이다. 안방 남쪽으로 두 칸이 부엌인데, 간반통의 두 칸이니까 세 칸 넓이가 되어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보이고 있다. 부엌의 머리 위로는 고미혀를 걸고 고미다락을 만들었는데, 부엌 넓이대로 다 만들지 않고 한 칸 정도의 넓이에만 시설하였다.
부엌 다음 칸은 아랫방인데 남도 방식의 유형이라 할 수 있다. 뒤퇴이면서도 간반통의 넓이 가운데서 앞쪽의 반반칸을 툇간으로 삼았다. 삼량가구에 대청은 연등이고 처마는 홑처마이며 기와를 이은 팔작지붕이다. 특별한 장식은 없고 나무도 도끼질을 한 채로 사용하여 기둥에는 도끼자국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