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동 북비고택 ( )

목차
관련 정보
성주 응와종택 사랑채 정측면
성주 응와종택 사랑채 정측면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 있는 조선후기 사도세자의 호위무관 출신 이석문 관련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성주 응와종택(星州 凝窩宗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3년 06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한개2길 23-16 (월항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 있는 조선후기 사도세자의 호위무관 출신 이석문 관련 주택.
내용

1983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사도세자의 호위무관이던 훈련원 주부 이석문(李碩文)이 사도세자 참변 이후 영조 50년(1774)에 세자를 추모하며 북향으로 문을 내고 평생 은거하던 집이다.

가전(家傳)에 순조10년(1810) 손자 사헌부 장령(掌令) 이진(李鎭)이 안채와 사랑채를 신축하고 대문 안 맞배집을 서재로 개수했다 한다. 사랑채는 고종3년(1866)에 중수하였다.

원래 장판각 · 안대문채 · 마방과 뜰아랫채가 더 있었으나 없어졌고 지금은 대문 · 안채 · 사랑채 · 안행랑채 · 사당과 북비댁이 일곽을 이루고 있다.

대문간채는 솟을대문 · 방 · 마구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솟을대문 측벽에 쪽문 내고 출입하는 서울 사대부집 방식이 도입되었다. 대문 안 바로 우측에 낮은 담이 있고 작은 일각문이 있다. 북비문(北扉門)이라 편액하였다. 문 안에 북향한 4칸 건물이 있다. 방 2칸 대청 2칸의 단순한 건물이다.

대문 안 좌측에 T형 평면의 사랑채가 있다. {{#191}}자형에 반 칸 넓이의 측간이 부설되면서 생긴 변형이다. 정면 4칸 측면 2칸 몸체에 대문쪽으로 돌출한 간방이 이어진 구조이다. 돌출 부분이 작은 사랑방이며 높은 주초석을 세워 내루(內樓)로 조성하였다.

몸체 중심에 큰 사랑방 2칸이 있는데 앞퇴가 있어 대청으로 통하게 되었고 방 뒤로는 반 칸 넓이 골방이 2칸 계속되어 있다. 큰 방과 작은 방과의 사이에 함실(불길이 그냥 곧게 고래로 들어가게 된 아구이)이 있다. 큰 방 옆 대청은 정면 1칸 측면 2칸 넓이다.

사랑채와 안채 사이에 안행랑채가 있다. 정면 4칸 측면 1칸 맞배지붕의 건물이다. 안채는 一자형 평면으로 향 우측부터 부엌 간 반(間半), 안방 2칸, 대청 2칸, 건너방 1칸 순이고 앞퇴가 전 칸에 계속되었다.

방에는 뒤쪽 처마 아래로 고미다락이 있고 대청 뒤에는 쪽마루가 설치되었다. 홑처마 맞배 기와 지붕이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간 반 통에 앞퇴가 개방된 가묘형이다.

참고문헌

『성주한개마을』(연세대학교, 1991)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