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산동 한주종택 ( )

목차
관련 정보
성주 대산동 한주종택
성주 대산동 한주종택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 있는 조선후기 유학자 한주 이진상 관련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대산동한주종택(大山洞寒洲宗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3년 06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한개2길 43 (월항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월항면에 있는 조선후기 유학자 한주 이진상 관련 주택.
내용

1983년 경상북도 민속문화재(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767년(영조 43) 이민검(李敏儉)이 창건했던 것을 1866년(고종 3) 한주 이진상(李震相)이 중건하였다.

대문간채 · 사랑채 · 안채 · 아래채 · 고방채 · 중문간채 · 사당 · 정자 · 행랑채가 현존한다. 마을의 제일 깊은 막다른 위치에 있고 경사진 비탈 끝에 동향한 평삼문형 대문이 있다. 방 · 대문 · 마구간 순으로 평면 구조인데 마구간 위에 다락이 있어 층계로 오를 수 있게 되어 특색을 보인다.

문을 들어서면 우측에 사랑채가 있다. 남향한 맞배지붕 건물로 평면은 정면 4칸 반, 측면 2칸 반 규모이다. 향 좌측의 방이 큰 사랑방이다. 아랫방 · 윗방 그리고 뒤쪽의 넓은 골방, 좌측 반 칸의 골방까지 차지하였다. 우측에 대청, 그리고 작은 사랑방이다. 방과 대청 앞에 툇마루가 연속되었다.

중문간채는 정면 7칸 측면 1칸 맞배지붕 구조인데 사랑채 서편에 나란히 자리잡고, 바깥마당과 안채 안마당을 구획하였다. 문간 · 외양간 · 곳간 · 방앗간이 조성되었다. 안채는 一자형 정침(正寢 : 거처하는 곳이 아닌, 제사를 지내거나 일을 잡아 하는 몸채의 방)이 남향하고 안마당 동쪽에 있으면서 서향한 아래채와 서편에서 동향한 고방채를 거느렸다.

이 일곽은 트인 ㄷ자형을 이루고 있다. 정침은 좌측부터 간 반 넓이 부엌, 2칸의 반방, 2칸 대청, 1칸 건넌방의 순이다. 앞퇴와 방과 대청 뒤로 반 칸의 수장중간이 있다. 정면 6칸 반, 측면 간 반이다.

아래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 2칸의 방과 곳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방채는 찬광과 광, 마루의 3칸 규모이다. 사당은 안채 뒤꼍에 따로 일곽을 이루고 있다. 정면 3칸 측면 2칸 반으로 보통 가묘보다 넓다.

안채 동편으로 채마밭이 있고 샛담의 좁고 작은 일각문을 나서면 T자형 평면의 한주정사(寒洲精舍)가 있다. 몸채는 정면 4칸, 측면 간 반인데 우측 끝간에서 앞으로 1칸, 뒤로 1칸 반이 돌출하면서 날개가 생겼다. 앞쪽은 마루인데 내루(內樓) 형식이어서 높은 돌을 주초로 받쳤고, 팔작지붕의 추녀를 활주로 지탱하였다. 뒤편은 방으로 2칸 반 연속되어 있다.

중심부에 대청이 널찍하고 다음에 건넌방이 있다. 방 앞으로 툇마루가 있어 대청과 큰방에 이어진다. 대청에 만직당(萬直堂), 큰방 문인방에 정숙료(正宿寮)의 편액이 걸렸다. 그 외에도 편액과 기문을 적은 현판들이 여럿 걸려 있다. 주변의 정취는 매우 유현(幽玄)하다. 한국식 정원이 지닌 천연스러움이 잘 조성되어 있는 특색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성주한개마을』(연세대학교 1991)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