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경예부자문등서 ()

목차
관련 정보
도경예부자문등서
도경예부자문등서
근대사
문헌
대한제국기 우리 정부의 외교관계 서류 · 증서 및 각종 문헌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정리한 외교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대한제국기 우리 정부의 외교관계 서류 · 증서 및 각종 문헌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정리한 외교서.
내용

3권 3책. 한장(漢裝) 필사본.

겉장은 파란색이고, 제목은 흰색 바탕에 종서로 썼으며, 제1책의 순서로 종합·정리하였다. 언제 누가 상세히 수집, 정리하였는지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내용상 고종 말기에 완전히 정리된 것 같다. 주요내용은 고종 초기 중국 예부의 자문을 중심의제로 하여 외교문서를 정리하였다.

또한, 1876년(고종 13) 2월 27일자로 일본과 체결한 강화도조약에 관련된 자문내용도 문답식으로 해설해놓았으며, 이 조약을 전후로 하여 중국·일본과 활발히 교섭, 내왕한 각종 외교관계 공식문서를 있는 대로 수집하여 수록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 사절 내왕 때의 필담(筆談)이나, 통역으로 문답하고 평가한 여러 가지 대화내용과 그 생각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우리 나라 외교관과 중일 외교관, 정객·고위관료·학자들간의 내왕서한을 비롯하여, 각종 현안의 사건·사실이 외교적으로 타결된 뒤 국내 유생 등의 격렬한 반대상소문 및 이에 대한 왕의 비답(批答) 등 여러 가지 외교와 국내정치에 관련된 기록문헌이 단편적으로 형식 없이 집록되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사』 16·17(국사편찬위원회, 1975)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