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장무늬토기 ()

녹유항아리
녹유항아리
선사문화
유물
돋을새김 무늬를 새긴 도장[印]을 표면에 찍어 오목새김 무늬로 장식한 토기.
이칭
이칭
인화문토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도장무늬토기는 돋을새김 무늬를 새긴 도장[印]을 표면에 찍어 오목새김 무늬로 장식한 토기이다. 경주 안압지와 고분, 산성 등에서 출토되었다. 선무늬, 점선무늬, 물결무늬, 원호무늬, 편자무늬, 꽃무늬, 구름무늬, 달개무늬, 물방울무늬 등 다양한 무늬가 새겨졌다. 도장무늬가 새겨진 그릇 종류도 굽다리사발, 뚜껑, 병, 사발, 바리, 장군, 뼈단지등 다양한 편이다. 특히 도장무늬가 새겨진 뼈단지는 황갈색이나 황록색 유약을 입힌 시유토기(施釉土器)로 만들어졌다. 일반적으로 중국 당나라 문화의 영향과 함께 불교문화 파급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추정하고 있다.

목차
정의
돋을새김 무늬를 새긴 도장[印]을 표면에 찍어 오목새김 무늬로 장식한 토기.
내용

도장무늬[印花文] 토기로 일컬어지는 것은 역사시대 이후 등장하지만, 도구로 표면을 눌러 무늬를 새기는 수법은 이미 신석기시대부터 활용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은 남해안지역 신석기시대 전기를 대표하는 찍은무늬인 자돌(刺突) · 압인(押印, 押引)계 토기로, 출토된 곳의 이름을 따서 영선동(瀛仙洞)형 토기라고 불린다. 끝이 뾰족한 도구나 죽관(竹管)상 혹은 반재죽관(半裁竹管)상 도구 등을 이용하여 아가리 부분 쪽에 한정하여 무늬를 새긴 것이 특징인데, 표면에 직각으로 눌러 찍은 것이 있는가하면 눌러서 삐치거나 약간 그은 것 등 다양한 형식이 존재한다.

도장무늬 토기는 통일신라시대부터 등장하여 유행하는데, 선무늬[線文], 점선무늬[點列文], 물결무늬[波狀文], 원호무늬[圓弧文], 편자무늬[馬蹄形文], 꽃무늬[花形文], 구름무늬[雲文], 달개무늬[瓔珞文], 물방울무늬[水滴形文]등 다양한 무늬가 새겨졌다. 도장무늬가 새겨진 그릇 종류도 굽다리사발[臺附盌], 뚜껑[蓋], 병(甁)류, 사발, 바리[鉢], 장군[橫缶], 뼈단지[骨壺]등 다양한 편이다.

도장무늬 토기는 신라의 수도인 경주에서 출현하여 백제 복속과 더불어 한강 유역에 이르기까지 분포하였다. 경주 안압지를 비롯하여 여러 고분과 산성 등에서 출토되었는데, 특히 원호무늬, 물방울무늬, 편자무늬, 점선무늬 등이 중심을 이룬다. 도장무늬 토기가 출현하기 이전에는 비스탬프무늬로 이야기되는 날카로운 도구나 콤파스 등을 이용하여 삼각형무늬나 원호무늬, 물결무늬를 새긴 것이 확인되는데, 이들 무늬를 더욱 용이하게 새기기 위해 스탬프상의 도장무늬로 변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도장무늬가 새겨진 뼈단지는 황갈색이나 황록색 유약을 입힌 시유토기(施釉土器)로 만들어진 것이 특징이다.

의의와 평가

도장무늬 토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중국 당나라 문화의 영향과 함께 불교문화 파급에 의해서 만들어졌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또한 도장무늬 토기가 새겨진 굽다리사발의 출현과 보급이 고구려제 청동사발의 모방에서 시작하여 신라 내부에서 발전하였고, 도장 기법의 출현을 중국 홍주요(洪州窯)의 조업 연대과 관련하여 이해하면서, 7세기 전반 경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고려시대 도장무늬 토기에는 새로이 덩굴무늬[唐草文]등이 등장하지만, 중국의 음양각 기법 등장으로 점차 도장무늬 기법은 쇠퇴하였다. 다만 고려청자 상감기법에 도장무늬 기법이 섞여 사용되었고,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분청사기 무늬 제작에 다시 도장무늬가 새겨져 성행하였다. 조선시대 분청사기에는 새로이 물고기무늬[魚文], 구름무늬, 번개무늬[雷文] 등이 등장하였고, 도장무늬가 연속적으로 새겨져 표면 전체를 덮는 형태로 발전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고대의 토기: 흙·예술·삶과 죽음』(국립중앙박물관, 1997)
『한국의 미』5 토기(한병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서울·경기지역 성곽 및 고분 출토 신라 인화문토기 연구」(박성남,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통일신라시대 인화문도기 연구」(오가영,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인화문 유개완 연구: 경주지역 출토유물을 중심으로」(이동헌,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인화문도기의 발생과 계보에 대한 시론」(山本孝文,『영남고고학』41, 2007)
「운문이 시문된 통일신라 인화문토기 검토」(이동헌,『불교고고학』5, 2005)
「연당초문 변천과 인화문 발생 시고: 광주도수리 분청사기요지 대접파편을 중심으로」(강경숙,『이대사원』20, 1983)
「新羅印花文陶器硏究における文樣論再考-‘新羅王京樣式’の提唱とその基礎硏究として-」(重見泰,『韓·日交流の考古學』, 嶺南考古學會·九州考古學會 第6會 合同考古學大會, 200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