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리모양 토기 (바리 )

목차
관련 정보
청진 농포동 출토 바리모양토기
청진 농포동 출토 바리모양토기
선사문화
유물
항아리모양 토기와 달리 목이 없이 아가리와 몸통이 바로 연결된 토기.
이칭
이칭
발형토기(鉢形土器), 바리모양토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바리모양 토기는 항아리모양 토기와 달리 목이 없이 아가리와 몸통이 바로 연결된 토기이다. 아가리의 지름과 몸통의 높이에 따라 깊은바리모양, 바리모양, 얕은바리모양 토기 등으로 구분한다. 깊은바리모양과 바리모양 토기는 음식을 삶고 끓이는 자비용(煮沸用)으로 추정된다.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까지 유행하였다. 원삼국시대에는 부뚜막 시설이 유행하면서 자비용 바리모양 토기의 형태가 변화하였다. 이후 덧띠무늬 토기, 화분모양 토기, 덧띠 토기, 화분모양 토기, 긴 독[長胴甕], 연질토기, 회청색 경질토기, 와질토기 등으로 분화하였다.

목차
정의
항아리모양 토기와 달리 목이 없이 아가리와 몸통이 바로 연결된 토기.
개설

아가리의 지름보다 몸통의 높이가 높은 것을 깊은바리모양〔深鉢形〕 토기라고 하고, 아가리 지름과 몸통 높이가 비슷한 것을 바리모양 토기라고 부르며, 높이보다 지름이 더 긴 것을 얕은바리모양〔淺鉢形〕 토기라고 한다.

바리모양 토기는 아가리 지름보다 몸통 지름이 크고 몸통과 아가리 부분이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는 독모양〔甕形〕 토기와 구분된다. 바리모양 토기는 아가리 지름이 여느 지름에 비해 가장 넓고 아가리가 직선으로 바닥과 연결되는 것만을 지칭한다. 그러나 시대마다 몸통의 최대 지름〔胴最大徑〕 위치와 아가리 부분의 모습이 다양하였기에, 이러한 토기를 지칭하는 용어도 바리모양 토기는 물론 독모양 토기, 화분모양 토기 등 다양한 편이다.

내용

얕은바리모양 토기를 제외하고 깊은바리모양 토기와 바리모양 토기는 음식을 삶고 끓이는 자비용(煮沸用)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토기는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초기철기시대(삼한시대 전기)까지 유행하였고, 원삼국시대(삼한시대 후기) 이후부터는 아가리가 바깥쪽으로 꺾이고 몸체 부분이 약간 부르면서 긴 독모양 토기로 바뀌어 사용되었다.

신석기시대 바리모양 토기는 바닥이 뾰족한 첨저(尖底), 평평한 평저(平底), 둥근 환저(丸底) 등 다양하고, 아가리 부분의 지름이 가장 넓으면서 아래쪽으로 직선이나 약간의 곡선으로 좁아드는 형태이다. 지역에 따라서는 바닥 부분과 바깥면에 새겨진 빗살무늬, 타래무늬, 번개무늬, 덧무늬, 자돌압인무늬, 침선무늬, 겹아가리무늬 등 무늬의 차이도 있다.

한반도 동북 지방인 웅기 서포항 유적에서 출토된 깊은바리모양 토기는 평평한 바닥에 몸통이 바깥쪽으로 곧게 기울어져 안정된 원통 모양을 이루므로, 이전에는 화분모양 토기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한반도 서북 지방과 중서부 지방의 봉산 지탑리 유적, 서울 암사동 유적 등에서 출토된 빗살무늬바리모양 토기는 바닥 대부분이 뾰족하지만, 신석기시대 늦은 시기의 평양 금탄리 유적 출토 토기는 아가리 부분이 약간 바깥쪽으로 꺾여 독모양을 이루고 있다. 한편, 한반도 남부 지방 바리모양 토기의 기본 형태는 중서부 지방과 비슷하지만 바닥은 둥글고 서북 지방이나 중서부 지방에 비해 아가리 부분 지름이 더 넓은 것이 특징이다.

민무늬토기시대 바리모양 토기는 굽달린 평평한 바닥으로 변화할 뿐, 기본적인 모습은 신석기시대의 것과 동일하다. 무늬는 대부분 아가리 부분에 새겨졌는데, 깊은바리모양 토기에서만 주로 확인될 뿐, 바리모양 토기나 얕은바리모양 토기에는 무늬가 없는 편이다.

두만강 유역의 바리모양 토기는 신석기시대의 것과 마찬가지로 원통 모양이지만, 밖으로 약간 꺾인 아가리 끝에 골아가리무늬〔口脣刻目文〕를 새겼거나 아가리 부분에 봉상(棒狀), 죽관상(竹管狀), 반재죽관상(半裁竹管狀) 등의 도구로 비스듬히 찌르거나 삐쳐서 여러 줄의 점선무늬를 새긴 것이 특징이다. 이후에는 점차 무늬를 새기지 않고 몸통 위쪽에 손잡이를 달았다.

대동강 유역에서는 좁고 평평한 바닥에 몸통이 부풀다가 약간 좁아지며 아가리 부분이 겹아가리로 만들어진 팽이모양 토기가 유행하였는데, 겹아가리에는 빗금무늬나 톱니무늬가 새겨졌다. 청천강 유역의 바리모양 토기는 팽이모양 토기보다 바닥 부분이 넓은데, 몸통에서 아가리쪽으로 곧게 연결된 차이가 있다.

한편,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는 구멍무늬, 골아가리무늬, 겹아가리무늬, 빗금무늬 등이 단독으로나 상호 결합하여 새겨진 바리모양 토기가 확인되었다. 구멍무늬와 골아가리무늬가 결합한 토기를 역삼동형(驛三洞型) 토기라고 하고, 겹아가리무늬와 빗금무늬가 결합한 토기를 가락동형(可樂洞型) 토기라고 하며, 역삼동형 토기 무늬와 가락동형 토기 무늬가 결합되는 것을 흔암리형(欣岩里型) 토기라고 부른다. 이후 무늬는 점차 사라지고 민무늬가 진행되면서 아가리 부분이 안쪽으로 약간 좁아지는 모습을 띤다.

청동기시대 중기에는 송국리형(松菊里型) 토기가 대표적인데, 평평한 바닥에 몸통이 약간 부풀다 좁아지고 아가리가 다소 바깥쪽으로 꺾인 모습이다. 이 토기는 연구자들에 따라 독모양 토기, 항아리모양 토기로 불리기도 한다.

초기철기시대부터 서북 지방에서는 화분모양 토기, 남부 지방에서는 덧띠〔粘土帶〕토기가 유행하였다. 이것은 형태상 바리모양 토기에 포함시킬 수 있지만, 토기가 시 · 공간을 대표하는 용어로 사용되므로, 단순히 바리모양 토기로만 부르는 경우는 드물다.

원삼국시대에는 부뚜막 시설이 유행함에 따라 자비용 바리모양 토기의 형태 변화가 두드러진다. 즉, 뾰족한 바닥 내지 둥근 바닥에 간혹 좁은 굽이 달린 몸통이 길고 곡선을 이루며 약간 부풀다가 좁아지면서 아가리 부분이 바깥쪽으로 꺾인 독모양 토기가 나타났다. 그리고 평평한 바닥 내지 둥근 바닥에 구멍이 몇 개 뚫리고 소뿔모양의 손잡이가 달린 시루도 등장하였다.

이처럼 초기철기시대 이후 기존 바리모양 토기의 기능이 분화하면서 모습 또한 다양하게 분화 · 발전하였다. 따라서 바리모양 토기의 모습이지만 기능성 · 시대성 · 공간성을 대표하는 용어인 덧띠무늬 토기, 화분모양 토기, 덧띠 토기, 화분모양 토기, 긴 독〔長胴甕〕, 연질토기, 회청색 경질토기, 와질토기 등으로 부르게 되었다.

참고문헌

「토기와 청동기」(한병삼, 『교양국사총서』 8, 1974)
『한국의 미』 5-토기-(중앙일보사, 1981)
『한국고고학개설』(김원룡, 일지사, 1986)
「남한 청동기시대 연구의 성과와 과제」(안재호,『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2009)
「무문토기 지역분류 시고」(윤무병,『진단학보』39, 1975)
「경기도출토 무문토기 마제석기」(이백규,『고고학』3, 1974)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