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목돌대문토기 ()

목차
관련 정보
선사문화
유물
아가리 부분에 덧띠를 덧붙인 신석기∼청동기시대의 토기.
이칭
이칭
돌대문토기(突帶文土器), 무각목돌대문토기(無刻目突帶文土器), 돌대각목문토기(突帶刻目文土器), 절상돌대문토기(節狀突帶文土器), 계관형돌대문토기(鷄冠形突帶文土器), 덧띠무늬토기, 새김덧띠무늬토기
내용 요약

각목돌대문토기는 아가리 부분에 덧띠를 덧붙인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의 토기이다. 새김덧띠무늬토기라고도 한다. 아가리 부분의 덧띠의 모습과 새김의 유무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아가리 부분에 돌대, 즉 점토띠를 돌려 덧붙이고 그 위에 판상(板狀)이나 봉상(棒狀) 도구로 ‘V’자나 ‘D’자 무늬를 새긴 토기이다. 음식을 삶거나 끓이는 자비용(煮沸用)으로 사용하였다.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전환기 표지 유물로 중국 동북 지방과 연해주 지역, 한반도 일대, 서일본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목차
정의
아가리 부분에 덧띠를 덧붙인 신석기∼청동기시대의 토기.
개설

새김덧띠무늬토기라고도 한다. 덧띠무늬〔突帶文〕토기가 가장 포괄적인 용어인데, 이와 관련하여 새김덧띠무늬 토기, 새김없는덧띠무늬〔無刻目突帶文〕토기, 덧띠새김무늬〔突帶刻目文〕토기, 마디모양덧띠무늬〔節狀突帶文〕토기, 닭벼슬모양덧띠무늬〔鷄冠形突帶文〕토기 등이 있다. 때로는 각목돌대문토기 또는 돌대각목문토기가 넓은 의미에서 한반도 출토품을 대표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각목돌대문토기와 돌대각목문토기는 무늬 요소로 각목과 돌대 중 어느 쪽에 주안점을 두고 명칭을 부여하느냐에 따라 다를 뿐 그 무늬는 같다.

각목돌대문토기, 또는 돌대각목문토기는 아가리 부분에 돌대, 즉 점토띠를 돌려 덧붙이고 그 위에 주1이나 주2 도구로 ‘V’자나 ‘D’자 무늬를 새긴 것을 일컫는다. 한편, 마디모양덧띠 토기는 일반적으로 아가리 부분의 덧띠가 아가리를 한 바퀴 돌리지 않고 중간에 끊어진 형태로 서로 마주보도록 4개를 붙인 것이다. 닭벼슬모양덧띠무늬 토기는 마디모양덧띠무늬 토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마디모양덧띠에 새김을 둔 것인데, 그 모습이 닭벼슬과 닮았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이처럼 덧띠무늬 토기가 가장 보편적이며, 덧띠의 모습과 새김의 유무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된다.

분포와 특징

덧띠무늬 토기는 중국 동북 지방, 연해주 지역, 한반도 일대, 서일본 지역에 걸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다만 지역별로 덧띠무늬가 첨가되는 차이가 있다. 한반도 남부 지방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덧띠무늬 토기는 음식을 삶거나 끓이는 자비용(煮沸用) 깊은바리모양 토기 아가리에서 약 1㎝ 떨어진 지점에 덧띠를 붙이고, 판상 도구를 이용하여 새김을 분명하게 둔 것이 특징이다.

신석기시대에도 덧띠무늬 토기는 춘천 내평, 사천 구평리, 여수 돌산 안도 유적에서 확인되었는데, 청동기시대의 것과 달리 덧띠가 분명하게 튀어나와 단면의 모습이 사다리꼴에 가깝고, 새김없는덧띠무늬 토기가 주를 이루었다. 신석기시대의 새김없는덧띠무늬 토기는 가로선무늬를 반복하여 새긴 것이나 겹아가리 토기와 함께 출토되었으므로, 주로 신석기시대 후기∼말기에 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인다.

청동기시대 남부 지방 덧띠무늬 토기와 유사하게 깊은바리모양〔深鉢形〕토기 아가리 부분에 덧띠무늬가 있는 것은 한반도 동북 지방을 포함한 연해주 지역에서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모습의 토기는 웅기 굴포리 서포항 유적 4 · 5기와 송평동, 회령 오동, 무산 범의구석, 나진 초도 유적에서 출토되었는데,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는 전환기 표지 유물로, 무늬 요소인 덧띠무늬는 역사시대까지 확인된 셈이다. 다만, 한반도 남부 지방의 새김은 판상 혹은 봉상 도구를 이용하였던 반면, 동북 지방의 새김은 봉상 도구, 반재죽관상(半裁竹管狀) 도구, 손가락을 이용하여 누른 다양한 모습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중국 동북 지방과 한반도 서북 지방에서는 덧띠가 바리모양 토기 외에 항아리모양〔壺形〕토기나 굽다리접시〔高杯〕에도 덧붙었다. 항아리형 토기의 경우, 아가리 부분이나 몸통 부분, 몸 부분과 몸통 부분의 경계에 붙는 등 다양한 편이다. 중국 동북 지방에서는 덧띠가 신석기시대의 대련 소주산(小珠山) 상층(上層)과 심양 편보(偏堡) 유형, 청동기시대 대련 쌍타자(雙駝子) 3기, 심양 고대산(高臺山) 문화, 본계 마성자(馬城子) 문화에서 확인되었고, 한반도 서북 지방에서는 압록강 하류의 용천 신암리 유적, 압록강 중 · 상류의 강계 공귀리 유적시중 심귀리 유적, 청천강 유역의 정주 당산 패총, 영변 세죽리 유적 등에서 신석기시대 말기부터 청동기시대에 이르기까지 겹아가리 토기와 더불어 보편적 무늬 요소로 확인되었다.

서일본의 덧띠무늬 토기는 한반도의 신석기시대에 해당하는 죠몽〔繩文〕시대 말기에 나타나 야요이〔彌生代〕시대 주3까지 확인되었다. 아가리 부분이 꺾인 굴곡형의 바리모양 토기 아가리를 지니며 목 부분과 몸통 부분 경계에 1조 내지 2조의 덧띠무늬가 더해졌고, 새김 형태와 방법은 한반도 남부 지방 것과 유사하다. 때문에 서일본 덧띠무늬 토기의 기원을 한반도 남부 덧띠무늬 토기에서 구하는 견해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내용

한반도 남부 지방 청동기시대 덧띠무늬 토기는 하남 미사리 유적과 제천 황석리, 금산 수당리, 익산 영등동, 김천 송죽리, 경주 충효동, 순창 원촌, 진주 대평리 옥방5지구와 상촌리D지구, 어은1지구, 사천 본촌리, 제주 상모리 유적에서 확인되었다. 최근에는 영서 지방의 가평 연하리, 홍천 철정리와 외삼포리, 정선 아우라지, 인천 동양동 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유적은 대체로 내륙 지역 하천가의 충적대지 위에 분포하는 특징이 있다.

덧띠무늬 토기는 덧띠의 위치가 아가리끝쪽으로 점차 올라가고, 새김 형태가 넓은 D자, 마름모꼴에서 선상을 이루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이 토기는 돌깐돌두름식〔石床圍石式, 板石敷圍石式〕화덕자리를 갖춘 방형 주거지와 토광돌두름식〔土壙圍石式〕화덕자리를 갖춘 장방형 주거지에서 출토되었다. 전자에서는 하남 미사리 유적처럼 덧띠무늬 토기만 단독으로 출토되었고, 긴 네모 모양 돌칼, 네모난 자귀날도끼〔偏刃石斧〕, 단면 원뿔모양 가락바퀴〔紡錘車〕가 함께 확인되었다. 후자는 남강 유역의 진주 대평리 옥방5지구, 사천 본촌리 유적처럼 가락동형 토기, 역삼동형 토기, 흔암리형 토기와 함께 나왔고, 새로이 붉은 간토기, 간돌검〔磨製石劍〕이 함께 출토되기도 하였다.

덧띠무늬 토기가 단독으로 확인되는 단계를 청동기시대 조기로 편년하기도 하지만, 시기구분상 조기로 보기 어렵고 전기의 이른 단계로 보는 견해도 있어, 청동기시대 조기 설정 문제는 학계에서 아직 조율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한반도 남부에서 덧띠무늬 토기는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에 등장하여 전기에는 가락동형, 역삼동형, 흔암리형과 같은 전기 민무늬 토기와 함께 하면서 전기 말까지 존속하였다.

한반도 남부 지방 덧띠무늬 토기의 기원은 크게 두 가지설이 있다. 하나는 덧띠무늬의 존재와 주거지 구조의 유사성을 근거로 압록강 중 · 상류 혹은 요동반도에서 농경 생산을 기반으로 한 주민들이 남하하여 출현한다고 보는 설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주거지의 구조, 공반된 석기, 가락바퀴 등의 공통성을 근거로, 공귀리와 심귀리 유적을 비롯한 압록강 중 · 상류에서 직접적인 계보를 구하는 견해도 있다. 이 견해는 한반도 남부 지방 덧띠무늬 토기가 바리모양이지만, 한반도 서북 지방의 덧띠무늬 토기는 아가리모양 토기가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비판을 받고 있다.

또 하나는 매부리형 석기, 단면 원뿔모양 가락바퀴, 덧띠가 붙어 있는 바리모양 토기와의 유사성을 근거로, 북위 40˚ 이북의 중국 길림∼두만강 유역 잡곡농경문화 주민이 기온 하강으로 인해 남부 지방으로 이주하여 출현하였다고 보는 설이다. 이 견해는 정작 한반도 동북 지방에서 남부 지방에 이르는 중간지인 영동 지역에서 덧띠무늬 토기의 출토 양상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참고문헌

『전환기의 선사토기』(국립김해박물관, 2005)
『청동기시대의 대평·대평인』(국립진주박물관, 2002)
「남한 청동기시대 연구의 성과와 과제」(안재호,『동북아 청동기문화 조사연구의 성과와 과제』,2009)
「무문토기시대 조기설정론 재고」(김장석,『한국고고학보』69, 2008)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변천 과정에 대하여-동북한 토기의 편년 및 주변 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강인욱,『한국고고학보』62,2007)
「한반도 돌대문토기의 형성과 전개」(천선행,『한국고고학보』57, 2005)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금재윤,『한국상고사학보』46, 2004)
「한국농경사회의 성립」(안재호,『한국고고학보』43,2000)
「일본 초기수전농경기의 덧띠새김무늬 토기-한반도와의 관련을 중심으로-」(이홍종,『사총』33, 1987)
「西日本における突帯文土器文化の成立過程」(千羨幸,『考古學雜誌』第92卷 第3號, 2008)
주석
주1

널빤지처럼 생긴 모양. 우리말샘

주2

가늘고 긴 막대기 모양. 또는 그 막대기와 비슷한 형상. 우리말샘

주3

이른 시기. 우리말샘

집필자
천선행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