뒷전

목차
관련 정보
뒷전굿 / 도당굿
뒷전굿 / 도당굿
민간신앙
의례·행사
중부지방의 굿에서 잡귀를 돌려 보내는 마지막굿거리.
이칭
이칭
마당굿, 뜰덩굿, 거리굿, 중천멕이, 도진
목차
정의
중부지방의 굿에서 잡귀를 돌려 보내는 마지막굿거리.
내용

중요한 신이 아닌 잡귀들을 한꺼번에 풀어서 먹이는 제차이다. 중요한 신들에 대한 굿은 대체로 성대한 상을 차려놓고 집안에서 행하여지지만, 뒷전은 마당에서 나물·떡·밥·술 등의 음식으로 간소하게 상을 차려놓고 행한다.

이 굿은 생전에 한을 품고 죽은 영산이나, 그를 따라온 수비·상문 등 인간의 삶에 해악을 끼치는 존재를 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들은 인간의 삶에 해악을 입힐 수 있는 존재들이지만, 정식 무속의 신으로 대접을 받지는 못하며, 뒷전에서 밥과 술을 먹으면 물러가게 된다.

이 제차에서는 장구잡이와 무당이 대화로써 소박한 연극을 연출하기도 한다. 이때 무당은 음탕한 장님이나 바람둥이·해산모 등으로 분장하고 골계적인 재담을 하는데, 이를 장님타령·해산타령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마을의 모든 액을 품고 있는 상징적 존재인 허수아비를 만들어서 해학적으로 치죄한 뒤 태워 버리기도 한다.

마지막에는 제상의 제물들을 조금씩 떼어서 문밖에 버리고, 집안에서 마당 밖으로 신칼을 던져서 잡귀가 물러갔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칼끝이 바깥쪽을 향하면 잡귀가 물러갔다고 믿는다. 뒷전은 굿의 제차 중에서 완전히 고정화된 거리이다. 처음에 부정굿에서 시작하여 뒷전으로 끝나는 형식은 전국적으로 예외가 없다.

지역에 따라서 이름은 다양하게 불리는데, 황해도에서는 마당굿, 평안도에서는 뜰덩굿, 동해안에서는 거리굿, 전라도에서는 중천멕이, 제주도에서는 도진이라고 한다. →거리굿, 도진

참고문헌

『한국무속연구(韓國巫俗硏究)』(김태곤, 집문당, 1981)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韓國民俗綜合調査報告書)』(문화재관리국, 1969∼1981)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길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