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당성주기도도 (무당)

목차
관련 정보
무당성주기도도
무당성주기도도
민간신앙
작품
무당굿 열두 거리를 순서에 따라 그린 무속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무당굿 열두 거리를 순서에 따라 그린 무속화.
개설

무당굿 열두 거리를 순서에 따라 그린 그림이다. 작자는 미상이나, 필치로 보아 서울대학교 규장각도서에 있는 『무당내력(巫黨來歷)』의 작자와 같은 인물인 것으로 보인다.

내용

조선 말기의 작품으로 추정되며, 가로 40㎝, 세로 24㎝의 한지에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부정풀이·산바라기굿·제석(帝釋)굿·대거리(大巨里)·대감(大監)놀이·별상[別星]굿·구릉굿·성주풀이·호구(戶口)·창부(唱婦)·조상거리(祖上巨里)·뒷전 등의 순으로 그렸다.

아울러 무속이 단군시대로부터 유래하였다는 간단한 설명을 첨부하였다. <무당내력>과 비교하여볼 때 거의 같은 굿의 내용이며, 다만 굿의 순서와 몇 가지 거리의 이름이 다소 바뀌었을 뿐이다.

그러나 순서와 명칭의 변경은 실제 굿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고, 여기에서는 부정풀이로부터 시작된다는 점이 『무당내력』보다 실제에 더 충실한 관찰에 바탕하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형태는 두루마리로 되어 있으며, 서울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무당』(최길성, 열화당,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