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무 ()

목차
무용
작품
종묘(宗廟)와 문묘(文廟)의 제향(祭享)에서 추는 일무(佾舞:사람을 여러 줄로 벌려 세워서 추게 하는 춤)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종묘(宗廟)와 문묘(文廟)의 제향(祭享)에서 추는 일무(佾舞:사람을 여러 줄로 벌려 세워서 추게 하는 춤)의 하나.
내용

종묘(宗廟)와 문묘(文廟)의 제향(祭享)에서 추는 일무(佾舞:사람을 여러 줄로 벌려 세워서 추게 하는 춤)의 하나. 무덕(武德)을 상징하는 춤으로 문덕(文德)을 상징하는 문무(文舞)와 쌍을 이룬다. 종묘와 문묘제향의 아헌(亞獻)과 종헌(終獻)의 순서에서 춘다.

현재 종묘에서는 8일무(八佾舞)로 앞의 4줄은 칼, 뒤의 4줄은 창을 들고 추나, ≪악학궤범≫에는 6일무로 앞의 2줄은 칼, 중간 2줄은 창, 마지막 2줄은 활과 화살을 들고 춘 것으로 되어 있다. 문묘에서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왼손에는 방패모양의 간(干), 오른손에는 도끼모양의 척(戚)을 들고 춘다.

종묘에서의 춤추는 법은 정대업지악(定大業之樂)의 11곡에 따라 춤동작이 모두 다르나, 문묘에서는 문묘제례악의 4음 4박으로 된 한 소절 단위의 음악이 끝날 때까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즉, 아헌의 경우 첫박에서는 북쪽을 향하여 서서 간과 척을 든 양손을 왼쪽 목 옆으로 돌려든다.

둘째박에서는 오른쪽 목 옆으로 동작을 바꾼다. 셋째박에서는 왼손은 왼쪽 허리 옆으로 낮게 벌리고, 오른손은 오른쪽 어깨 위로 약간 높이 들어 내려칠 준비를 한다. 넷째박은 오른손의 척으로 왼손의 간을 힘차게 내려치며 허리를 약간 구부린 다음 원래의 준비자세를 취한다.

그러나 종헌의 경우 셋째박의 동작이 아헌과 조금 다르다. 즉, 왼쪽으로부터 한 바퀴 완전히 돈 뒤 척으로 간을 내려칠 준비를 한다. 종묘제향의 무무는 연대 미상의 ≪시용무보 時用舞譜≫에 음악과 함께 그림이 전해오고 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시용무보(時用舞譜)』
『한국전통무용연구』(장사훈, 일지사,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