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단 ()

목차
근대사
단체
1920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20년 만주에서 조직되었던 독립운동단체.
내용

1920년 5월 국내에서 망명한 박영식(朴永植) 등 10여 명이 비밀로 무장단을 조직하고, 국내외로부터 만주 관전현(寬甸縣)에 모여든 청장년 20여 명을 무장단원으로 입단시켰다.

입단 때의 선서내용은 “우리는 죽음으로써 조국과 민족의 장래를 책임지는 역군이 된다. 우리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귀순하거나 항복하지 않는다. 우리는 목숨을 바쳐 일제 침략수뇌부를 숙청하고 완전 자주독립을 달성시킨다. 우리는 조국이 완전 독립할 때까지 무장투쟁을 계속할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이를 보면 그들은 철저한 무장독립운동을 투쟁노선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무장투쟁을 위하여 단원들은 러시아 연해주로부터 무기를 구입하여 무장을 갖추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뒤의 활동은 구체적인 내용이 전해지지 않는다.

참고문헌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1∼5(국사편찬위원회, 1965∼1970)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