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동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에, 종부시첨정, 성균관사성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흠지(欽之)
창계(滄溪)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7년(세조 3)
사망 연도
1521년(중종 16)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종부시첨정|성균관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에, 종부시첨정, 성균관사성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흠지(欽之), 호는 창계(滄溪). 문숙기(文淑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문손관(文孫貫)이고, 아버지는 전연시직장(典涓寺直長) 문속명(文續命)이며, 어머니는 강순부소윤(江順府少尹) 진유경(秦有經)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6년(성종 17)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고, 1495년(연산군 1)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성균관을 거쳐 비안현감(比安縣監)이 되고, 1506년(중종 1) 강원도도사(江原道都事)가 되었다. 곧 종부시첨정(宗簿寺僉正)으로 승진하여 춘추관편수관(春秋館編修官)을 겸하고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외직으로 나가 1508년 양산군수(梁山郡守)가 되었다. 1510년 삼포왜란(三浦倭亂)이 일어나자 경상우도방어사 유담년(柳聃年)과 함께 왜적토벌에 공을 세우고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으로 진급하였다.

1512년 예천군수가 되어 임기를 채운 뒤 벼슬을 그만두고 고향에서 지내다 1521년 청풍군수가 되었으나 곧 임지에서 죽었다. 성품이 활달하여 매이는 것이 없었고, 해학을 즐겨 이것이 벼슬길을 크게 가로막았다.

또, 음주와 독서를 즐겼으며 문장에 능하였고, 특히 사부(詞賦)에 뛰어나 과거 준비하는 사람들이 다투어 문경동의 글을 익혔다고 한다.

저서로는『창계문집(滄溪文集)』 4권이 있다.

참고문헌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퇴계집(退溪集)』
『조선전기대일교섭사연구(朝鮮前期對日交涉史硏究)』 (이현종, 한국연구원, 1964)
집필자
이태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