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맞이

목차
관련 정보
청송 물맞이
청송 물맞이
민속·인류
개념
음력 6월 15일 유두일에 동쪽에 흐르는 개울에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는 세시풍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음력 6월 15일 유두일에 동쪽에 흐르는 개울에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는 세시풍속.
내용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 東國歲時記≫에 고려 명종 때 김극기(金克己)의 문집을 인용해서 “동도(東都 : 慶州)에 전해 내려오는 풍속에 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아 불길한 것을 씻어버린다. 그리고 계음(稧飮 : 액막이로 모여 마시는 술자리)을 유두연(流頭宴)이라 한다.”고 하였다.

한편, 음식을 차리고 새로 수확한 과일로 조상께 천신(철 따라 처음 나온 물건을 먼저 신위에 올림)을 하는 일도 있었다. 동쪽에 흐르는 개울에 가서 머리를 감고 목욕을 하는 것은 몸을 청결하게 하는 것으로, 겨울에서 봄까지는 물이 차서 몸을 씻지 못하였으나 유두 무렵이 되면 더위가 시작되므로 개울물로 목욕도 할 수가 있고 몸을 청결하게 해서 잔병이 없도록 하여야 했다.

동쪽은 태양이 솟는 곳으로 양기가 왕성해서 잡귀와 부정한 것을 물리칠 수가 있으며, 물로 몸과 머리를 감아 씻는 것을 정하게 해서 제화(除禍)하는 데 의미가 있었다. 물맞이가 여러 곳에서 행해지고 있었으며 전북특별자치도 전주(全州)지방과 경상북도 청송지방에는 요즈음에도 전승되고 있다.

전주시의 북쪽에 덕진(德津)이라는 큰 못이 있어 이 못의 수문(水門)쪽에서 해마다 유두날에는 물맞이를 하고 있다. 이곳 물맞이는 주로 여인네들이 찾아드는데 조선시대에 남녀유별하고 여인의 외출이 자중하여야 했던 때도 이곳에서는 물맞이가 있었다고 한다. 여인들끼리 흉보거나 엿보는 사람이 없으니 마음놓고 옷을 입은 채 머리를 감고 물을 뒤집어쓴다.

요즈음은 가정에 목욕시설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젊은이는 오지 않고 주로 늙은 할머니들이 연중행사로 물맞이를 하고 있다. 목욕자체보다는 부정한 것을 씻고 건강하고 정하게 여름을 보낼 수 있다고 믿어 신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물맞이에 대한 속담으로 ‘물 맞고 서방 맞고 매 맞는다’는 말이 있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한국세시풍속』(임동권, 서문당, 1977)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