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로는 소맥(小麥)이라고 한다. 학명은 Triticum aestivum L. 이다. 중요한 식용작물의 하나로 밋밋하며 마디가 길고 2, 3대가 같이 나와서 높이 1m 정도로 자란다. 잎은 넓은 피침형으로 끝이 점차 좁아지며 길이 13∼15㎝, 너비 1∼2㎝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뒤로 처진다. 꽃은 5월에 핀다.
밀은 농업의 기원과 더불어 재배된 가장 오랜 작물의 하나로 약 1만년 전에 이미 재배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원산지는 아프가니스탄 · 트랜스코카서스 및 아르메니아 지역이며 우리나라는 중국을 통하여 전래되었다.
그 재배시기는 경상북도 경주시 월성 유적이나 백제 군창지 등에서 탄화된 밀이 발견되는 것으로 미루어 삼국시대에는 이미 재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려도경(高麗圖經)』에 고려에는 밀이 적어 화북지방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밀가루의 값이 매우 비싸서 잔치 때가 아니면 먹지 않는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 그 생산량이 많지 않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현재도 연간 생산량은 5,000M/T 정도로 전체 소비량에 극히 미달되고 있다. 1986년도의 밀소비량은 331만 5000M/T로 그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밀은 가공특성 및 시장판매 구분에 따라 적계경질봄밀 · 적계연질봄밀 · 적계경질가을밀 · 적계연질가을밀 · 백계경질봄밀 · 백계연질봄밀 · 백계경질가을밀 · 백계연질가을밀 및 스파게티 · 마카로니 등을 만드는 듀럼밀 등으로 구분하는데 우리나라의 주요 품종은 전부 가을밀이다.
1920년경까지는 일본품종과 재래종이 재배되었고 1930년대부터 수원85호 · 86호 등 개량종이 육성 · 보급되었다. 1950년경 육성3호가 보급되었으며 본격적인 육종사업은 1960년부터 이루어져 영광 · 장광 · 진광 · 진풍 등이 육성되었다.
최근 조숙 · 다수확성 품종으로 조광 · 내밀 · 다홍밀 · 청계밀 · 그루밀 · 올밀 · 수원215호 등의 품종이 보급되고 있다.
3, 재배
종자를 비중 1.20∼1.22되는 용액에서 선별하여 물에 씻어 말린 뒤 종자 1㎏에 비타박스 2.5g 정도를 분의해서 파종한다. 파종시기는 주간엽수가 5, 6매 정도되어 월동하도록 중부지방은 10월 상순, 남부지방은 10월 중순이나 하순에 파종한다. 비료는 10a당 질소 10㎏, 인산 6㎏, 칼리 6㎏을 준다.
제초는 남부지방은 3월 하순이나 4월 상순, 중부지방은 4월 상순이나 중순에 2, 3회 실시한다. 월동 전 지나치게 번성할 경우나 월동 직후 서릿발이 설 경우, 봄철 토양이 건조할 경우, 무효분얼(無效分蘖)이 많을 경우 밟아주면 수확증대의 효과가 있다.
예전에는 귀한 곡물이어서 밀전병 · 유밀과와 같은 별식이나 간식, 또는 누룩과 같은 특수한 용도로 쓰였다. 그러나 6 · 25전쟁 이후 다량의 밀가루가 도입되면서부터는 주식 대용으로 쓰이게 되었으며, 국수 · 수제비와 같은 밀가루음식은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의 주식 대용의 의미가 크게 되었다.
요즈음 식생활이 서양식으로 바뀜에 따라 빵 · 과자 등을 선호하게 되었고 따라서 밀가루의 소비도 늘어나고 있다. 이 밖에 밀기울은 사료로 쓰이며 밀짚은 모자 · 방석 등의 가공재료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