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종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 광해군 당시 영의정을 역임한 문신.
이칭
효백(孝伯)
퇴우당(退憂堂)
시호
숙민(肅愍)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2년(명종 17)
사망 연도
1623년(인조 1)
본관
밀양(密陽)
주요 관직
영의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승종은 광해군 당시 영의정을 역임한 문신이다. 북인(北人)의 핵심 인물 중 한 명으로 아들 박자흥의 딸이 광해군의 세자빈에 책봉되면서 권력의 정점에서 활동하였다. 특히, 광해군이 즉위한 이후 영의정을 역임하였고, 밀창부원군에 책봉되었다. 광해군 후반에 북인의 또 다른 핵심 인물 이이첨(李爾瞻)과 대립하였고, 인조반정 직후 아들과 함께 자결하였다.

정의
조선 후기 광해군 당시 영의정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본관은 밀양(密陽), 자는 효백(孝伯), 호는 퇴우당(退憂堂)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충원(朴忠元), 할아버지는 판서 박계현(朴啓賢)이다. 아버지는 박안세(朴安世), 어머니는 황림(黃琳)의 딸이다.

주요 활동

1585년(선조 18)에 진사가 되었고, 다음 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589년 예문관 봉교(奉敎)를 거쳐, 지제교(知製敎)와 병조정랑을 역임하였고, 1600년 동지사(冬至使)로 명나라에 갔다. 1604년 부제학(副提學), 1607년 병조판서, 1610년(광해군 2) 형조판서를 거쳐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가 되고, 1618년 우의정으로 도체찰사(都體察使)를 겸하였다. 이어 좌의정이 되고, 이듬해 영의정에 올라 밀창부원군(密昌府院君)에 봉하여졌다.

1621년 초 후금(後金)은 요양(遼陽)과 심양(瀋陽)을 함락하고 요동 지역을 점령하였다. 후금은 조선에 대해 기존의 명에 대한 사대를 수정하고 후금과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라는 외교적 압박을 가하였다. 광해군은 후금과의 직접 대화를 통해 후금과의 긴밀한 유대 관계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지만, 비변사를 비롯한 모든 신하는 후금과의 대화를 거부하고 명과의 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할 것을 주장하였다. 당시 영의정 박승종은 비록 후금이 침입해 올 것이라는 전쟁의 압박이 강하지만, 후금과의 대화를 거부하고 전쟁 준비에 박차를 가할 것을 주장하였다. 인조반정 직후 아들 박자흥(朴子興)과 함께 자결하였다.

상훈과 추모

1797년(정조 21) 박승종의 후손으로 직산(稷山) 사람인 박기복(朴基復)이 광해군 대 중후반 진행되었던 폐모(廢母) 논의 과정에서 박승종이 폐모론을 반대했음을 강조하면서 박승종과 그의 아들 박자흥의 관작 회복을 상소하였지만, 허락받지 못하였다. 이후 1857년(철종 8) 충청도 진천(鎭川)의 유학(幼學) 박준상(朴準祥)이 박승종과 아들 박자흥의 관작 회복 상소를 올렸고, 이때 관작이 회복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선조실록(宣祖實錄)』
『정조실록(正祖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논문

한명기, 「明淸交替 시기 朝中關係의 추이」(『東洋史學硏究』 第140輯, 2017)
계승범, 「광해군대 말엽(1621~1622) 외교노선 논쟁의 실제와 그 성격」(『歷史學報』 第193輯, 역사학회, 200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