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5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1753년(영조 29)제작. 총고 50㎝. 현재는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대가야박물관에 옮겨져 전시되고 있다.
정상에 용뉴(龍鈕)를 갖추고 있고, 상대 부분에는 육자진언(六字眞言)의 범문(梵文)과 함께 종신에는 주조연대와 사찰명 · 무게 · 주종장, 그리고 시주자들의 성명 등이 명기되어 있어 비록 작은 종이지만 당시의 주조에 관계되었던 사실을 밝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종신의 중앙부에는 3조(條)의 태선(太線)을 설정하고 있고, 다시 그 밑으로 한 가닥의 태선을 빙 돌려 구획하였다. 특히 이 동종에서는 상대인 견대(肩帶)와 하대인 구연대(口緣帶), 그리고 유곽과 당좌 등이 생략되어 있는 동종으로 양식상 특이하다.
종신에 명기된 명문에 ‘건륭18년계유3월일 고령반룡사 중종100근 연화질 가선 혜철 담옥 공양주 학징 별좌위…(乾隆十八年癸酉三月 日 高靈盤龍寺 中鍾一百斤 緣化秩 嘉善 惠哲 擔玉 供養主 學澄 別座偉…)’로 되어 있어 반룡사 동종으로 주조하였음을 명확히 밝히고 있는데, ‘건륭 18년 계유’는 1753년으로 조선 후기에 있어 동종의 형태와 양식 등이 간략화되어가는 변천과정을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의 동종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