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비 ()

목차
의생활
물품
상의의 맨 위에 입는 소매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겉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상의의 맨 위에 입는 소매가 없거나 아주 짧은 겉옷.
내용

반비란 소매가 짧은 데서 나온 이름이다. 반비는 신라 제42대 흥덕왕(興德王) 복식금제 속에 나오는데 남녀가 다같이 입으며 표의와 같은 고급직물로 지어 입고 있다.

『삼재도회(三才圖會)』에서는 “수나라에서는 내관이 반도(半塗)라는 장수의(長袖衣)를 입었는데, 당 고조가 그 소매를 감하고 이르기를 반비라 하였다. 이는 지금의 배자(背子)이다. 강회(江淮)에서는 혹 이르기를 작자(綽子)라 하여 사인(士人)들이 다투어 입는데, 대개 수나라에서 처음 만든 것이다. 금속에 이름을 답호(褡○)라 하고, 또 이르기를 배심(背心)이라 한다.”고 그 유래를 설명하고 있다.

그 실린 그림은 우리 나라의 쾌자(快子)와 비슷하여 등솔을 길게 째고 소매가 없다. 그러고 보면 남자용 반비는 후세에 와서는 반소매가 아니고 아주 소매가 없어진 것으로 변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여자용 반비 곧 배자는 『사례편람(四禮便覽)』에서 “길이가 치마와 가지런하며 깃은 마주 대하고 옆이 트이고 둥근 소매이거나 반소매 또는 소매가 없다. 우리 나라 몽두의(蒙頭衣)가 그것이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조선 전기에 있었던 이 몽두의는 자취를 감추고 근래의 배자는 마고자와 같으나 소매가 없고 양 옆구리의 귀가 겨드랑이까지 트여 있어 옛 반비의 잔영을 남기고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사례편람(四禮便覽)』
『삼재도회(三才圖會)』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