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제경성도시학생협의회 ()

목차
근대사
단체
1931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항일 운동 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1년 서울에서 조직되었던 항일 운동 단체.
내용

경성제국대학 법과 학생인 신현중(愼弦重)은 학우 조규찬(曺圭瓚) 및 일본인 학생 3명과 함께 서울 관훈동의 중화원(中華園)에서 모임을 가졌다. 이들은 1929년 이래 활동하던 이 대학 재학생 중심의 독서회 소속 학생을 포섭, 반제부(反帝部)의 결성을 합의하였다.

그 뒤 1931년 3월부터 경성제국대학 법과 재학생을 주축으로 경성치과의학전문학교·제이고등보통학교(지금의 경복고등학교)·경신학교(儆新學校 : 지금의 경신고등학교)·경성법학전문학교·기독교청년학관 등에 조직 공작을 전개하여 4월에 반제부, 즉 반제경성도시학생연합회를 결성하였다.

뒤에 반제경성도시학생협의회로 발전되었다. 그리고 본부를 서울 내자동에 있는 신현중의 집에 두었는데 회원은 모두 50명이었다. 신현중의 조직적인 지도로 이형원(李亨遠)과 안복산(安福山) 등이 산하에 소단체를 만들어 이중적인 활동의 효과를 거두었다.

동시에 출판노동조합을 지도하면서 지하 출판물로 성대독서회뉴스, 반제학생신문, 기타 반전격문을 인쇄, 살포하여 반전 투쟁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협의회의 별동대 임무를 수행한 적우회(赤友會)는 사회주의운동을 그 실천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조직되어 활동한 지 5개월 만인 1931년 9월 27일 회원 대부분 검거되면서, 반제반전운동은 종결되었다. 그 중 19명이 예심 종결 4개월 만인 1932년 7월 4일부터 공판이 시작되어 그해 11월 4일 언도 공판이 있었다. 주동 인물인 신현중은 징역 3년, 이형원과 안복산은 각기 징역 2년, 나머지 16명은 3년간 집행 유예 판결을 받았다.

참고문헌

『항일학생민족운동사연구』(정세현, 일지사, 1975)
『독립운동사』 9(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7)
「한국학생운동사」(이현희, 『조일문박사고희기념논총』, 1988)
『最近に於ける朝鮮治安狀況』-昭和八年·昭和十三年-(朝鮮總督府警務局)
『태평양전쟁사』(역사학연구회, 1956)
집필자
이현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