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풍통성산 ()

목차
의약학
개념
자가중독물이 쌓여져 있는 것을 피부 비뇨기와 소화기를 통하여 배설하고 해독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목차
정의
자가중독물이 쌓여져 있는 것을 피부 비뇨기와 소화기를 통하여 배설하고 해독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비만성졸중체질(肥滿性卒中體質)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체내의 식독(食毒)·수독(水毒)·풍독(風毒)·열독(熱毒) 등에 쓰인다. 비만증·습관성변비·고혈압·만성신장염·단독(丹毒)·치질·축농증·당뇨병·각기 등에도 응용한다.

이 처방은 중국의 『의명대론』에서 첫 기록을 보인 이래 『단계심법』·『의학입문』·『만병회춘(萬病回春)』 등에서도 보이며, 우리나라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의 풍비(風痺)에 인용되었고, 그밖에도 『제중신편』·『방약합편』 등에 수록되어 있다.

처방은 활석(滑石) 7∼8g, 감초 3.8∼4.5g, 석고(石膏)·황금·길경 각각 3g, 방풍·당귀·천궁(川芎)·적작약·대황·마황·박하·연교(連翹)·망초 각각 2g, 형개·백출·치자 각각 1.5∼2.0g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드러기에는 이 처방에다 금은화·현삼·선퇴(蟬退)를 더하여 사용한다. 이 처방은 다른 처방에 비교하여 처방약재 수가 많고 각각의 분량이 적은 것이 특색이나 효능은 우수한 처방이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단계심법(丹溪心法)』
『현대방약합편(現代方藥合編)』(육창수, 계축문화사, 1976)
『국역의학입문(國譯醫學入門)』(이정 저, 안병국·채인식 역, 숭문사, 1974)
집필자
육창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누구나 자유로이 이용 가능하며,
    항목 내용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