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

목차
관련 정보
방향
방향
국악
유물
금부(金部) 또는 체명(體鳴) 타악기의 하나.
목차
정의
금부(金部) 또는 체명(體鳴) 타악기의 하나.
내용

고려시대 이후 현재까지 쓰이고 있는 대표적인 당악기로 철향(鐵響)·철방향(鐵方響)이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이전에 간행된 『악학궤범』(일본 蓬左文庫 소장)에 의하면 “철편(鐵片)의 모양은 길이가 9촌, 너비가 2촌으로, 위는 둥글고 아래는 모가 졌고, 수(數)는 16개이다. 16개의 철판을 겹줄로 엮고 틀에 달아놓고 편종과 편경 대신으로 쓴다.

강한 쇠붙이로 만든 철편의 크기는 같고 그 두껍고 얇은 차이에 의해서 음이 높고 낮다. 철편 위에 구멍을 뚫어 삼갑진사(三甲眞絲)로 위 아래 두 단에 각각 가로놓인 두 개의 가로쇠[橫鐵]에 8매씩 붙들어 맨다.”고 하였다.

그러나 1610년(광해군 2) 간행된 『악학궤범』에 의하면 “좌우 기둥 아래 안팎으로 초엽(草葉:풀잎)을 붙이고, 새끼호랑이[雛虎]를 만들어 네모진 방대(方臺) 위에 놓고 틀 두 기둥을 새끼호랑이 등에 뚫은 구멍에 꽂아 고정시킨다.”고 기록하고 있어 목공작(木孔雀)과 유소(流蘇:매듭술)를 늘어뜨려 장식하지 않는 점이 편종과 다르다.

16개의 철편은 편종이나 편경과 같이 8매씩 상하로 달되, 낮은 음에서 높은 음의 순서로 배열하지는 않았는데 그것은 당악(唐樂)을 연주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나중에는 편종·편경처럼 음률순으로 바꾸어 달았고, 현재도 그러하다.

연주법은 양손에 편종과 편경에 쓰이는 각퇴(角槌:뿔방망이)를 들고 치는데, 철편 밑에 받쳐놓은 가로쇠 때문에 소리가 울리지 못하여 좋은 음향을 내지 못하고 둔탁한 소리를 낸다. 『고려사』에 의하면 1076년(문종 30)에 대악관현방(大樂管絃房)을 정하였을 때 방향 업사(業師)의 이름이 보이고, 1114년(예종 9) 송나라에 신악(新樂)을 들여올 때 석방향(石方響)과 함께 철방향이 들어왔다.

그 뒤 조선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우리 나라에서는 주로 철방향을 사용하였다. 임진왜란 이전의 『악학궤범』과 광해군 2년판 내사태백산본(內賜太白山本)의 『악학궤범』 및 현재 국립국악원에서 연주되는 음률을 비교하면 [그림]과 같다.

참고문헌

『고려사』
『악학궤범』
『한국악기』(송혜진, 열화당, 2001)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증보한국음악사』(장사훈, 세광음악출판사, 198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