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신집방 ()

목차
관련 정보
백제신집방
백제신집방
의약학
문헌
삼국시대 백제에서 질병의 치료와 처방에 관한 내용을 모아 엮은 의서. 의학서.
정의
삼국시대 백제에서 질병의 치료와 처방에 관한 내용을 모아 엮은 의서. 의학서.
개설

이 책은 저자와 발간연대를 확실히 알 수 없으나, 고려 성종 3년(984)에 일본인 단파(丹波康頼)가 편술한 『의심방(醫心方)』에 그 방문이 두 곳이나 인용되어 있다. 그 중의 하나는 그의 증손(曾孫)인, 단파(丹波雅忠)의 『의략초(醫略抄)』에 전재되어 있는데, 그 방문은 치폐옹방(治肺癰方)과 치정종방(治丁腫方)이다.

내용

제1방의 치폐옹방은 황기(黃耆)를 불에 달여서 복용하는 것이다. 방문의 끝에 본 방과 같다고 적혀 있는 갈씨방(葛氏方)은 동진(東晉) 함화(咸和) 326∼334년경에 갈홍(葛洪)이 저술한 『갈씨주후방 葛氏肘后方』을 약(略)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제2방의 치정종방은 국엽(菊葉)을 그 줄기와 함께 두드려 즙을 세 되쯤 되게 하여 단번에 복용하는 것이다. 송대(宋代)의 『경사증류대전본초 經史證類大全本草』 권6의 국화(菊花)의 조에 『갈씨주후방』을 인용하며 “종기를 치료할 때는 국화잎 한 줌을 두드려서 짜낸 즙 한 되를 마시면 즉시 낫는다(治丁腫, 垂死, 菊葉-握, 搗絞汁-升, 入口, 卽治).”라고 적혀 있으니 본 방문도 역시 『갈씨주후방』에 의거한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제1방에 있는 황기는 한방의 최초 본초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이미 기재되어 있고 그 치방에 있어서도 옹종(癰腫:종기)·저창(疽瘡:등장. 등에 나는 부스럼)에 적용되어 있어 그 치법이 『백제신집방』의 치폐옹방과 거의 일치된다.

제2방의 국엽은 『신농본초경』에는 수록되지 않고 다만 국화만 기재되어 있다. 남조시대(南朝時代)의 도홍경(陶弘景)의 『명의별록(名醫別錄)』에는 국엽의 채취방법이 적혀 있을 뿐 아니라 정종에 대한 치방도 갈홍의 주후방과 거의 같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백제신집방』에 사용된 두 약초는 중국의 고대 본초서에 이미 보이며, 그 응용방법도 거의 일치된다. 그러므로 『백제신집방』은 중국 한방의학이 이미 성숙기에 달하게 되었던 삼국시대 후기에 성립된 것이라 짐작되며, 중국의약과의 교류관계에 있어서 백제는 지역적으로 중국과 서남해역을 격한 남조시대의 『갈씨주후방』이나 『신농본초경』과 『명의별록』 등 의방서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그러나 백제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의방서에만 의존하지 않고 『백제신집방』 같은 독자적 의방서를 편집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은 그 당시의 백제의학이 단순히 한의방의 수용에 만족하지 않고 그 지식을 종합, 정리하여 점점 자주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었다는 사실을 짐작하게 하는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의심방(醫心方)』
『경사증류대전본초(經史證類大全本草)』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두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