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 ()

목차
불교
개념
법의 수레바퀴라는 부처의 교법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목차
정의
법의 수레바퀴라는 부처의 교법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부처는 교법의 수레바퀴를 굴려 중생의 모든 번뇌를 굴복시키므로 비유하여 법륜이라고 하였다. 초기 불교의 교단에서는 부처의 설법을 뜻하는 말로 사용되었으나, 중국에서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분류하는 교상판석(敎相判釋:경전을 내용·시기 등에 따라 분류함.)에 많이 붙여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주창자로는 축도생(竺道生)·길장(吉藏)·진제(眞諦)·현장(玄奘) 등을 들 수 있다.

축도생은 부처의 일대교설(一代敎說:일생의 가르침)을 선정법륜(善淨法輪)·방편법륜(方便法輪)·진실법륜(眞實法輪)·무여법륜(無餘法輪)의 4법륜으로 분류하였다.

길장은 근본법륜(根本法輪)·지말법륜(枝末法輪)·섭말귀본법륜(攝末歸本法輪)의 3법륜으로, 진제는 전법륜(轉法輪)·조법륜(照法輪)·지법륜(持法輪)의 3법륜으로 분류하였다. 현장은 사제법륜(四諦法輪)·무상법륜(無相法輪)·요의법륜(了義法輪)의 셋으로 분류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이와 같은 법륜설을 널리 채택한 고승은 신라의 원효(元曉)이다. 원효는 그의 저서인 ≪열반종요 涅槃宗要≫·≪법화경종요≫ 등에서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길장의 3종법륜에 대하여, 원효는 근본법륜이란 석가모니가 처음 성도(成道)하여 화엄회상(華嚴會上:화엄경을 설한 법회)에서 보살들을 위하여 일인일과(一因一果:동일한 원인에 의해 동일한 결과를 얻음.)의 법문을 말한 것이라고 하였다.

지말법륜은 복이 엷고 근기(根機:깨달을 수 있는 능력)가 둔한 무리들이 그 깊은 일인일과의 법문을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일승(一乘)을 삼승(三乘)으로 나누어 설한 것이라고 하였으며, 섭말귀본법륜은 석가모니가 40년 동안 삼승의 법문을 설하여 그들의 근기를 향상시킨 뒤에 다시 삼승을 일승으로 돌아가게 하기 위하여 설한 ≪법화경≫ 등의 가르침이라고 하였다.

또, 진제의 3법륜에 대해서는 그 명칭을 유상법륜(有相法輪)·무상법륜(無相法輪)·무상무상법륜(無相無上法輪)으로 바꾸어서 해설하였다. 유상법륜은 오직 성문승(聲聞乘:가르침을 듣고 배워 깨닫는 사람)을 지향하는 사람을 위한 것으로서 사제(四諦)를 근본으로 하여 법륜을 굴리는 교법이며, ≪아함경 阿含經≫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무상법륜은 보살승(菩薩乘)을 지향하는 사람을 위한 것으로서, 법의 공성(空性)을 근본으로 하여 법륜을 굴리는 교법이며, ≪반야경≫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또, 무상무상법륜은 삼승을 모두 지향하는 이를 위한 것으로서, 법공(法空)과 무자성(無自性)을 근본으로 하여 법륜을 굴리되, 위가 없고 더 받아들일 것이 없기 때문에 이와 같은 이름을 붙였으며, ≪해심밀경 解深密經≫이 여기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원효 이후에는 신라의 표원(表員)이 법륜에 관하여 약간의 언급을 하였으나, 그 뒤의 학승(學僧)들은 천태종의 교상판석과 화엄종 법장(法藏)의 교상판석이 많이 채택되어 법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참고문헌

『법화경종요(法華經宗要)』(원효)
『열반종요(涅槃宗要)』(원효)
『화엄경문의요결문답(華嚴經文義要訣問答)』(표원)
「교판사상에서 본 원효의 위치」(이기영, 『한국불교연구』, 한국불교연구원, 1982)
집필자
김선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