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9m. 대웅보전 앞마당에 있다. 단면이 8각인 받침돌과 화사석, 지붕돌 등으로 구성되어,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석등의 전형적인 모습을 잘 보여준다. 화사석(火舍石)에 균열이 조금 나 있지만, 보존 상태는 좋은 편이다.
석등은 4장의 돌로 조립된 바닥돌 위에 서 있다. 아래받침돌은 윗단과 아랫단으로 이루어졌는데, 각 단마다 하나의 돌로 조성되었다. 아랫단은 일부가 손상되었지만, 8각의 각 면마다 안상(眼象)이 얕게 오목새김되었다. 윗단은 너비가 아랫단보다 줄어들었는데, 아랫부분에는 2단의 각진 층급을 너비를 조금씩 줄여 새겨 놓았고, 윗부분에도 3단의 각진 층급이 역시 너비가 줄어든 채 조각되어 있다. 가운데부분에는 꽃부리가 아래로 향해 있는 복련(覆蓮)의 연꽃무늬를 각 면마다 1개씩 모두 8개를 돋을새김하였다. 가운데받침돌은 단면이 8각인 간주(竿柱)로 꾸몄다. 윗받침돌은 아랫받침돌의 윗단을 거꾸로 대칭하여 올려 놓은 모습이다. 곧 아랫부분과 윗부분에는 각각 너비를 줄인 3단과 2단의 층급이 새겨져 있고, 가운데부분에는 꽃부리가 위로 솟은 앙련(仰蓮)의 연꽃무늬 8개가 각 면마다 1개씩 돋을새김되어 있다.
불을 켜 놓은 부분인 화사석에는 4면에 화창(火窓)이 뚫려 있고, 나머지 4면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이 돋을새김되었다. 길고 네모난 화창의 주변에는 마치 문틀처럼 1단의 층급을 얕게 깎아내었는데, 층급의 옆면에는 문을 고정시키기 위해 뚫은 2개의 작은 구멍이 남아 있다. 사천왕상은 매우 사실적으로 조각되었는데, 특히 두껍게 돋을새김되었기 때문에 역동적인 느낌을 준다.
지붕돌은 처마가 두껍지 않아 날렵한 인상을 준다.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이 있고, 전각(轉角)은 살짝 반전(反轉)되었다. 지붕돌 꼭대기에는 단면이 둥근 2단의 받침이 있고, 그 위에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로 둥근 보주(寶珠)가 얹혀 있지만, 후대에 새로운 돌로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석등은 원래의 위치에 그대로 서 있는 불국사의 대웅전 앞 석등이나 극락전 앞 석등, 화사석에 보살상이 돋을새김된 부석사 무량수전 앞 석등(국보, 1962년 지정)보다는 양식면에서 조금 진전된 모습을 보인다. 특히 사천왕상 조각의 생동감 있는 표현과 연꽃 위에 덧새겨진 꽃무늬조각 등은 장식적인 면을 더하고 있다. 팔상전 뒤쪽의 보호각 안에 서 있는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국보, 1962년 지정)보다 조금 일찍 조성된 것으로, 건립 시기는 8세기 후반경으로 추정된다. 규모가 장중(莊重)한 대표적인 통일신라시대 석등이라고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