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5m. 보광전과 남원 실상사 동 · 서 삼층석탑(보물, 1963년 지정) 사이에 있다.
신라 석등의 전형적인 양식인 단면 8각을 따르고 있지만, 가운데받침돌이 여느 석등과 같이 8각의 간주(竿柱) 모양이 아닌 북을 옆으로 엎어 놓은 고복형(鼓腹形)이어서 차이가 있다.
석등은 단면 8각의 바닥돌 위에 올려져 있다. 아래받침돌은 8각의 윗단과 아랫단으로 조성되었는데, 아랫단의 각 면에는 안상(眼象)이 얕게 오목새김되었다. 윗단에는 2장의 넓은 꽃잎이 아래로 향해 있는 복련(覆蓮)의 연꽃 무늬가 겹쳐진 채로 얕게 돋을새김되었는데, 각 꽃잎의 끝부분에는 높게 솟아오른 귀꽃이 3개의 구름무늬를 이루며 장식되어 있다. 윗단의 윗부분에는 3단의 받침을 두었다.
가운데받침돌은 단면이 둥글며 3단의 마디로 조성되었다. 곧 아래받침돌 윗단의 위와 윗받침돌의 아래에 바로 붙어서 각각 1단의 마디를 두었고, 위아래 마디 사이에는 제법 높은 또 하나의 마디를 놓았다. 툭 튀어나온 마디에는 가운데부분에 3줄의 띠와 함께 토끼풀처럼 생긴 꽃무늬가 장식되었고, 위아래부분에는 꽃잎이 1장인 단옆(單葉)의 연꽃무늬가 조각되었다. 3단의 마디 사이는 잘록한 편으로, 겉면에는 3줄의 선이 돋을새김으로 장식되어 있다. 가운데받침돌의 맨 윗면에는 3단의 받침이 새겨져 있다.
8각의 윗받침돌은 아래받침돌의 윗단과 달리, 1장의 꽃잎이 위로 겹쳐진 채로 솟아 있는 앙련(仰蓮)의 연꽃무늬가 돋을새김되어 있다. 꽃잎마다 가운데부분에 꽃무늬가 장식되어 특이하다.
불을 켜 놓은 부분인 화사석(火舍石) 역시 단면 8각으로 이루어졌다. 각 면마다 길고 네모난 화창(火窓)을 내었는데, 화창 주변에는 2줄의 선이 그어져 있으며, 문을 고정시켰던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8각의 지붕돌은 윗면인 낙수면을 각 면마다 1장의 연꽃잎으로 장식하고서, 맨 윗부분에 다시 연꽃무늬를 겹쳐 새긴 특이한 모습이다. 기왓골이나 우동(隅棟)의 표현은 없이 연꽃잎만으로 각 면을 나누었다. 연꽃잎의 끝부분에는 아래받침돌의 윗단과 같은 모양의 귀꽃이 장식되었지만, 일부는 잘려버렸거나 없어졌다. 머리장식인 상륜부(相輪部)는 상태가 완전한 편이다. 가운데받침돌처럼 마디에 3줄의 띠와 꽃무늬로 장식된 복발(覆鉢)과 3단의 마디가 놓여 있고, 그 위로 귀꽃이 조각된 보개(寶蓋)가 올려져 있는데, 높게 돌출된 보개의 윗부분에는 덩굴 무늬[唐草文]가 새겨져 있다. 맨 위에는 끝부분이 뾰족한 연꽃봉오리 모양의 보주(寶珠)가 놓였는데, 가운데부분에 둥근 장식을 선으로 새겨 놓아 특이하다.
석등의 앞에는 돌로 만든 계단이 서 있다. 계단은 석등에 불을 켤 때 오르내리던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남아 있는 석등 가운데 유일한 사례로, 석등이 공양구(供養具)라는 장식적인 의미와 함께 실용적인 등기(燈器)로 사용된 모습을 알려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이 석등은 전체적인 모습이 구례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국보, 1962년 지정)이나 임실 진구사지 석등(보물, 1963년 지정)과 비슷하여, 지금의 전라도 일대에서 유행하였던 양식으로 짐작된다. 크기가 장중(莊重)하고 장식이 화려하며 비례미가 단정한 편으로,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인 석등으로 평가되고 있다. 건립 시기는 실상사가 창건된 828년(흥덕왕 3)경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