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

목차
관련 정보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공예
유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태안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바라.
이칭
이칭
정통십이년명 태안사 대발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谷城 泰安寺 靑銅 大??)
분류
유물/불교공예/의식법구/의식법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1988년 06월 16일 지정)
소재지
전남 곡성군 죽곡면 태안로 622-215 (원달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태안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바라.
내용

198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름 94㎝. 2매(枚) 1쌍(雙). 바라란 발(鉢)·발자(鉢子)·요발(鐃鈸)·동반(銅盤) 등으로 불리는 불교 타악기의 일종으로서, 그 형태는 마치 서양 악기인 심벌즈의 모습과 유사하다. 지금도 범패(梵唄) 등과 같은 창불가찬(唱佛歌讚)의 의식법구로 사용되고 있다. 대체로 그 크기는 소형으로서, 손에 들고 칠 수 있도록 끈을 달아 두 짝을 합쳐서 소리내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청동 대바라는 크기와 중량이 대형인 점에서 범종(梵鐘)과 같이 어느 곳에 특별히 매달아 사용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몸체의 외형은 내면으로 가면서 점차 볼록하여지다가 중심 부분을 손잡이와 같이 돌기시켰고, 그 가운데 작은 구멍이 뚫려 있다. 이 손잡이를 중심으로 두 줄의 동심원(同心圓)을 두 번 반복 시문하였으며, 바깥 동심원 한쪽에는 끈을 꿰어 매달기 위한 곳이 돌출되어 있다. 외연(外緣)은 외반(外反)시켜 그 끝을 밖으로 한단 접었다.

바라의 양쪽 표면에는 100여 자씩의 명문을 각각 점선각(點線刻)으로 기록하였다. 양 표면 외연부에 기록된 명문은 내용이 거의 동일하나 문구(文句)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한쪽 바라의 경우 그 표면 중앙부에도 추가된 명문을 확인할 수 있다.

기록된 명문은 ‘(其 1) 桐裏山泰安寺大鉢正統十二年丁卯八月日造成功德主孝寧君施主安城李氏革末純化主持□□□□□□□景泰五年甲戌三月日改造大功德主孝寧大君高惠夫人安城夫人李氏□寺大釋師尙珠大化主□□□□□敏, (其 2) 桐裏山泰安寺大鉢正統十二年丁卯八月日造成孝寧大君施主安城夫人李氏化主…景泰五年甲戌三月日改造大功德主孝寧大君高惠夫人安城夫人李氏□寺大釋師尙珠大化主□□□□□, 王上殿下萬歲王妃殿下壽春年世子邸下壽千秋孝寧大君□□□’이다.

즉, 이 청동 대바라는 정통 12년(1447, 세종 29)에 태종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의 발원에 따라 조성되었다가 경태 5년(1454, 단종 2)에 개조된 것임을 알 수 있다. 현존하는 바라 가운데 크기가 가장 큰 작품인 동시에, 조선 초기의 귀중한 금석문 자료라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금속공예(정영호 감수, 중앙일보사, 1985)
「태안사의 대발과 동종이구」(정영호,『고고미술』74, 한국미술사학회, 1966)
『佛具辭典』(淸水乞, 東京堂出版, 1978)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