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석인본. 1938년 아들 휴곤(烋坤)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하겸진(河謙鎭)의 서문과 권말에 족친 용화(容和)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51수, 잡저 6편, 권2는 부록으로 서(書) 1편, 시 1수, 제문·행장·유사·묘지명·묘갈명·전 각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의 「병와수록(病窩隨錄)」은 느낀 바를 수필식으로 기술한 것으로, 학문은 자기를 수양하여 성현이 되기 위한 길이라고 이유를 밝히고, 공부를 부지런히 하여 하나씩 깨달아 가면 성현의 지위에 이를 수 있지만, 어렵다고 포기하면 어리석은 인간을 면할 수 없다는 근본설로 면학을 권유하였다.
「답인문(答人問)」은 범녀(范女)가 맹자의 마음이 출입한다는 설을 부정한 데 대하여 반박한 것으로, 마음은 체와 용으로 구분되는데, 체로 말하면 출입이 있을 수 없지만 용으로 말하면 출입이 있다고 해석하고, 범녀는 체만 알았지 용은 몰랐다고 반박하였다.
이밖에도 「대학경일장도(大學經一章圖)」·「대학차의(大學箚義)」·「중용수장도(中庸首章圖)」·「중용차의(中庸箚義)」가 있어 『대학』과 『중용』 연구에 도움을 준다. 「작시문법(作詩文法)」은 시 짓는 방법을 설명한 것으로 한시 연구에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