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 최감찰댁 ( )

목차
관련 정보
보은 최감찰댁 사랑채 정측면
보은 최감찰댁 사랑채 정측면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에 있는 개항기 안채 · 사랑채 · 문간채 · 곳간채 · 헛간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보은 최감찰댁(報恩 崔監察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1984년 01월 14일 지정)
소재지
충북 보은군 삼승면 선곡리 281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북도 보은군 삼승면에 있는 개항기 안채 · 사랑채 · 문간채 · 곳간채 · 헛간채 등으로 구성된 주택.
개설

1984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의 안채에 있는 대청 상량대에는 ‘숭정기원후오임진(崇禎紀元後五壬辰)’에 집이 완성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1892년(고종 29)의 일이다. 안채와 사랑채는 함께 경영된 것으로 보이고, 문간채와 곳간채 · 헛간채들은 그 뒤에 따로 건축된 것으로 보인다.

내용

넓은 공터를 지나면 3칸의 대문이 나오는데 동남향한 문간채이다. 그 서편에는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는 정면 4칸 반에 측면은 앞뒤퇴가 있는 세칸통이다. 一자형의 평면으로 대문간 쪽의 첫째 칸은 반 칸의 아궁이가 있는 시설이다.

앞퇴 쪽은 토벽으로 막아 벽장으로 쓰게 하였다. 다음 칸은 사랑방 두 칸이다. 앞뒤에 퇴가 있다. 다음은 마루를 깐 방이다. 역시 앞뒤퇴가 있고 방이나 마찬가지로 띠살무늬의 사분합을 달았다.

다음 칸은 건넌방이다. 한 칸인데 뒤의 퇴는 생략되었다. 사랑채의 방 앞쪽 벽체에는 머름을 드리고 문얼굴을 세웠는데 키가 작은 두 짝의 덧문이 달려 있다.

죽담은 낮은 편이고 툇마루도 낮게 설비되어 고상식의 마루로는 낮은 편이다. 중부의 평야지대에서는 보기 드문 구조로, 보은지방이 산골짜기의 고장이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고 보인다.

사랑채의 처마는 홑처마이고 지붕은 기와 이은 팔작이다. 사랑채 뒤편에는 샛담이 있어 중문간채에 이어져 있다. 중문간채는 단칸통으로 5칸이며 동향이다. 중문은 그 중앙 칸에 있고, 중문을 들어서면 넓은 안마당이 나온다.

안채도 중문채와 같은 좌향으로 앉았으며 一자형 평면이다. 정면은 6칸이고 측면은 앞뒤퇴가 있는 구조이다. 높지 않은 죽담에 안채가 올라앉아 있는데 기둥간살이가 아주 널찍하다.

안채의 왼쪽(남쪽)은 첫 칸이 부엌이다. 부엌에 이어 방 두 칸이 계속된다. 방 앞에는 앞툇마루가 있고 방 뒤의 퇴에는 골방이 시설되어 있다. 방 다음은 두 칸의 대청이다.

앞퇴는 역시 우물마루이고 뒤퇴도 마루인데 그 중의 한 칸에 정갈한 방을 만들어 조상의 위패를 모시게 하였다. 다음 칸은 뒤퇴까지를 포함한 칸 반의 건넌방이다. 앞퇴의 마루는 일단이 높아져 있는데, 이것은 가마솥을 건 아궁이의 시설 때문이다.

방과 대청의 앞쪽 벽에는 사분합 또는 분합의 문짝이 달려 있다. 이 덧문을 열면 用자와 亞자 무늬의 미닫이가 달려 있다. 가구(架構)는 고주를 앞뒤에 세운 이고주(二高柱)의 오량이다. 처마는 홑처마이고 기와 이은 팔작지붕으로 구조되어 있다. 헛간채와 곳간채는 2칸과 3칸 규모이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중요민속자료편 상(문화재관리국, 1985)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