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목활자본. 1858년(철종 9) 후손 병섬(秉暹)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종로(鄭宗魯)의 서문과 권말에 강직(姜稷)·장병규(張炳逵)의 발문이 있다. 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15수, 만(輓) 13수, 서(書) 16편, 잡저로 책문(策文) 1편과 청암일기(靑巖日記), 제문 3편, 권2는 부록으로 수창운(酬唱韻)·왕복서독(往復書牘)·봉안문·유사·사우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주로 사우(師友)와 자식들에게 보낸 편지로, 대부분이 병자호란 때 쓴 것이어서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는 데 도움이 된다. 잡저의 「책문」은 인재등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적 사실을 예로 들어 설명한 글이다.
「청암일기」는 1637년 청암찰방으로 있을 때의 일기로, 거듭된 전쟁으로 인한 국토의 피폐함과 백성의 참담한 생활상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부록의 「사우록」은 유성룡의 문도들 명단으로, 당시 영남학자들의 계통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