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밀교 ()

비밀교
비밀교
불교
문헌
조선후기 승려 몽은 등이 밀교의 의식과 절차를 찬술하여 1784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이칭
이칭
밀교집, 밀교개간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승려 몽은 등이 밀교의 의식과 절차를 찬술하여 1784년에 간행한 의례서. 불교의례서.
개설

『밀교개간집(密敎開刊集)』 또는 『밀교집( 密敎集)』이라고도 한다. 몽은은 그의 스승인 위기(暐基)의 범서(梵書)를 받아 설악(雪嶽)·연파(戀波)·혜봉(慧峯) 등과 함께 찬술하였다.

편찬/발간 경위

종합적 성격을 지닌 밀교관계 전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한 것으로, 1784년(정조 8) 경상북도 성주 불영산 수도암(修道庵)에서 처음으로 개간하였다. 그 뒤 다시 개간된 자료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 목판본. 책의 첫머리에 환우(喚愚)의 개간밀교서(開刊密敎序)와 산포(山逋)의 비밀교개간서(祕密敎開刊序)가 있고, 한글 표기의 용례(用例)가 있다.

책의 끝에는 비밀교를 개간할 때에 도움이 된 속인과 승려의 명단이 있고, 이어서 간기(刊記)가 있다. 모든 진언은 범어와 한글음을 병행하여 기록하였다.

책의 맨 끝부분에 있는 관세음보살시현명호급시현일(觀世音菩薩示現名號及示現日) 이하 오색경진언(五色經眞言)까지의 6장은, 간기의 뒤에 있는 것으로 보아, 후대에 증보하여 합철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국대학교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내용은 크게 밀교(密敎)·행문(行文)·관문(觀文)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밀교에는 실담장(悉曇章)을 비롯하여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사십이수진언(四十二手眞言)·소수구주(小隨求呪)·존승다라니(尊勝陀羅尼)·구형십칠가지(驅邢十七加持)·준제경사대주(准提經四大呪)·점청오방관(點請五方觀)·삼단가지변공(三壇加持變供)·사다라니(四陀羅尼)·소청불보살주(召請佛菩薩呪)·공양삼보주(供養三寶呪)·법신총귀주(法身摠歸呪)·실상장구(實相章句)·신조사성례(晨朝四聖禮)가 실려 있다.

이어서 관세음보살모주(觀世音菩薩姥呪)·소재길상주(消災吉祥呪)·관음오인심주경(觀音五印心呪經)·미타경칠대주(彌陀經七大呪)·조상경주(造像經呪)·불보살점필방(佛菩薩點筆方)·팔엽개주(八葉盖呪)·전신사리보협주(全身舍利寶篋呪)·하단헌식작관법(下壇獻食作觀法)·천수사방관(千手四方觀)·조모예불지송법(朝暮禮佛持誦法)·오주작관문(五呪作觀文) 등이 실려 있다.

다음으로 행문은 문수대삭발일(文殊大削髮日)·문수목욕일(文殊沐浴日)·보현세족일(普賢洗足日)·삼장육재일(三長六齋日)·대장경왕생정토식부법(大藏經往生淨土食符法)·칠성예배일(七星禮拜日)·관음시현일(觀音示現日)·시왕탄일(十王誕日)·관세음보살시현명호급시현일(觀世音菩薩示現名號及示現日)·비구수식법(比丘受食法)·비구매일삼시과송의(比丘每日三時課誦儀) 등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관문에는 일체불사작관문(一切佛事作觀文)이 실려 있다.

이 책의 중요한 부분을 형성하고 있는 밀교부분에서는 각종 밀교의식과 진언은 물론이요, 그러한 의식의 개설방법과 절차 등을 자세히 밝혀주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각종 의식을 행할 때에 필요한 진언·다라니·주문들은 주로 여러 가지 밀교경전에서 그 핵심되는 것들을 뽑아서 엮어놓고 있다.

또한, 행문에서는 앞에서 언급한 여러 가지 의식을 행하는 날짜·시간·장소 등을 밝혔으며, 관문에서는 모든 불교의 행사를 행할 때에 그 수행하는 사람이 지녀야 할 정신적 자세인 관심법(觀心法)을 자세히 언급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전체적인 입장에서 보면, 이 책은 조선시대 밀교사상과 모든 의식에 관한 종합적인 개설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책에서 대일여래(大日如來)의 오지(五智)인 성소작지(成所作智)·묘관찰지(妙觀察智)·평등성지(平等性智)·대원경지(大圓鏡智)·법계체성지(法界體性智)와 오불(五佛)인 아축불(阿閦佛)·무량수불(無量壽佛)·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보생불(寶生佛)·불공성취불(不空成就佛)에 의한 오상성신관법(五相成身觀法)과 상법(像法)·단법(壇法)·인법(印法)의 수행을 비중 높게 다루고 있어서 전통적 사상을 그대로 계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양부만다라(兩部曼茶羅) 중에서 실천을 위주로 한 금강계만다라(金剛界曼茶羅)가 주류였음을 이 책을 통하여 알 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편, 1976)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